국제사회, 북 로켓 발사 중지 압박

0:00 / 0:00

북한이 3단 장거리 로켓의 발사대 장착을 완료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미국을 위시한 국제사회는 북한의 발사 강행을 저지하기 위해 전방위 대북 압박에 나서는 모습입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한반도 주변국은 물론 유엔 등 국제기구와 우크라이나, 독일, 뉴질랜드 등 한반도 비인접 국가들조차 북한의 로켓 발사 중단을 한 목소리로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미국 국무부의 마크 토너 부대변인은 5일 정례기자설명회에서 북한이 실제 로켓 발사에 나서지 않도록 설득할 수 있길 바란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한미일 3국과 중국, 러시아 등 북한을 제외한 6자회담 참가국들 모두 북한의 로켓 발사를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마크 토너 부대변인: 6자회담 참가국 간에는 이번 로켓 발사가 북한에 좋지 않은 생각(bad idea)이라는 데 광범위한 공감대가 형성돼 있습니다. 북한이 발사를 강행하면 미국은 6자회담 참가국들과 계속 다음 조치를 협의할 것입니다.

토너 부대변인은 북한이 로켓 발사를 중지할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면서 북한 지도부의 이같은 결정은 북한 주민들 입장에선 매우 잘못된 선택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또 북한이 전 세계적으로 가장 강력한 제재를 받고 있지만 북한이 로켓 발사를 강행한다면 “기존 제재를 더 효과적으로 이행할 수 있도록 수정하는 등 제재를 강화할 방법은 항상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벨기에 브뤼셀에 모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대사들도 5일 공동성명을 통해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북한의 로켓 발사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고 밝히면서 이런 행위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718호와 1874호를 직접적으로 위반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미국의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도 지난 4일 북대서양조약기구 외무장관 회의에 참석해 북한에 로켓 발사 중지를 공개적으로 요구해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외교부의 훙레이 대변인도 지난 4일 정례기자설명회에서 “북한이 주권국으로 우주의 평화적 이용 권리가 있지만 유엔 안보리가 로켓 발사를 제한하는 결의를 채택했다는 점을 고려해 신중히 행동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앞서 러시아 외무부도 지난 3일 성명을 통해 북한의 로켓 발사 계획에 유감을 표명하고 발사 계획 재검토를 강하게 촉구했는데 러시아군 고위 인사는 북한이 발사하려는 로켓이 사고로 정상궤도를 벗어나 러시아 영토를 위협할 경우 즉각 요격할 계획이라고도 밝혔습니다.

카타르를 방문한 유엔의 반기문 사무총장도 4일 북한이 “로켓 발사 결정을 재고하고 탄도미사일과 관련된 모든 활동을 중단하라”면서 “북한은 주변국과의 신뢰 구축과 주민 생활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유엔 안보리 순회 의장을 맡고 있는 모하메드 룰리치키 유엔 주재 모로코 대사도 이날 북한의 “로켓이 발사되면 안보리가 적절한 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고 미국을 방문한 국제원자력기구의 아마노 유키야 사무총장은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는 한반도 비핵화 노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한편 한국 외교통상부 임성남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4일 미국 워싱턴을 방문해 글린 데이비스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일본의 스기야마 신스케 외무성 아시아 대양주 국장과 함께 북한의 로켓 발사 관련 대응책을 논의했습니다.

논의를 마친 임 본부장은 기자들과 만나 한미일 3국은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를 사전에 저지하는 것이 우선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면서 이를 위한 국제공조를 강화해 나갈 방침을 밝혔습니다.

임성남 본부장: 한미 양국은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실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외교적 노력을 극대화하기로 합의했습니다. 한미 양국 간의 외교적 노력도 강화해야 되지만, 또 중국과 러시아도 이런 노력에 동참하도록 하기 위해서 더욱 노력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미국을 방문하기에 앞서 중국의 우다웨이 한반도사무 특별대표와도 회동한 임성남 본부장은 6일까지 워싱턴에 머물면서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관계자도 만나 북한 로켓 발사 문제 등을 논의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