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이 장거리 로켓 발사 기간을 한 주간 연기한다고 발표했지만, 일본정부는 오는 29일까지 비상 경계태세를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도쿄에서 채명석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일본정부는 북한이 장거리 로켓 발사를 예고한 첫날인 10일 아침 7시부터 비상경계 태세에 들어갔습니다.
노다 요시히코 총리, 후지무라 오사무 관방장관, 겐바 고이치로 외무상, 모리모토 사토시 방위상 등은 중의원 총선거 유세를 중단하고 10일부터 매일 아침 7시에 출근하여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에 대비할 방침입니다.
일본정부는 또 총리실 위기 관리센터에 대책실을 설치했으며, 외무성도 긴급 대책본부를 설치하고 한국, 미국 등과 연락 체계를 강화할 방침입니다.
일본정부는 북한이 로켓 발사 예고 기간을 29일까지 한 주간 연기한다고 발표했지만, 북한이 예고한 29일까지 비상경계 태세를 계속할 방침입니다.
한편 일본 전문가들은 “북한이 로켓 발사 예고 기간을 한 주간 연기한 것은 주력 엔진의 결함이 아니라 발사할 때의 자세를 제어하는 보조 엔진에 결함이 발견됐기 때문이다”라고 말하면서 “그럴 경우 고장 부분을 비교적 빨리 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적어도 29일까지는 발사가 가능할 것이다”라고 내다봤습니다.
그러나 전 해상자위대 고위 간부는 NHK방송에 “북한이 대포동 2호 장거리 미사일을 3차례 발사했지만 모두 실패했다”고 지적하면서 “북한의 장거리 로켓 기술이 구조적인 결함을 안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습니다.
이 전문가는 이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1주기, 김일성 주석의 탄생 100주년을 맞이 한 올해를 빛내기 위해 북한이 반드시 12월안에 로켓 발사를 강행할 것”이라고 내다 봤습니다.
한편 일본 정부는 북한이 실제로 장거리 로켓을 발사할 것에 대비해 수도권 3개 지역과 오키나와 4개 지역에 지대공 유도탄 패트리엇 미사일(PAC3)을 배치 완료하고 북한의 장거리 로켓의 파편이 낙하할 경우 이를 요격할 방침입니다.
또 해상 요격용 SM3 미사일을 탑재한 이지스 함 2척을 동해와 동중국해에 파견하여 ‘2단계 요격 태세’에 들어갔습니다.
북한이 발사한 로켓이 인체에 해로운 연료를 사용했을 가능성에 대비해 오키나와에 육상 자위대의 화학 방호부대도 배치했습니다.
일본정부는 북한이 실제로 장거리 로켓을 발사할 경우 자위대의 레이더가 포착한 발사 정보보다는 미국의 조기 경계위성이 전하는 발사 정보를 즉각 오키나와 등지에 전달할 방침입니다.
오키나와 현은 비상정보전달 체제인 Em-Net와 전국순시경보 체제인 J-Alert를 이용하여 이를 산하 지방자치단체에 순시에 전달하여 주민들이 입을 피해를 최소화할 방침입니다.
한편 북한이 발사를 예고한 10일부터 29일 사이에는 일본의 중의원 총선거 일(16일)과 한국의 대통령 선거일(19일)이 끼어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일본 전문가들은 “북한이 장거리 로켓 발사 시점을 언제로 정하느냐에 따라 한국과 일본의 선거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고 내다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