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27일 현재 개성공단을 비롯한 북한 지역에 체류하고 있는 한국 국민은 모두 1,100여 명입니다.
개성지역에 1046명, 금강산에 40명, 그리고 평양에 2명입니다.
천해성: 정부는 우리 국민의 신변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면서 필요한 조치를 취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미 알려드린 바와 같이 통일부는 북한핵실험 대책상황실을 현재 24시간 운영하고 있고, 모든 관련 상황을 철저히 점검하고 있습니다. <br/>
북한이 27일 한국의 PSI 참여를 놓고 군사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북한 지역에 체류 중인 남측 인원들에 대한 신변안전 문제가 대두하고 있습니다.
통일부는 27일 남측 인원의 신변안전과 관련한 북한의 특별한 동향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개성공단 왕래도 특이사항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됐다고 밝혔습니다.
천해성 통일부 대변입니다.
천해성: 정부는 우리 국민의 신변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면서 필요한 조치를 취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미 알려드린 바와 같이 통일부는 북한핵실험 대책상황실을 현재 24시간 운영하고 있고, 모든 관련 상황을 철저히 점검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한국 정부의 PSI 전면 참여로 북한이 반발해 개성공단의 잠정 중단 또는 통행을 차단하는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입니다.
또, 현대아산 직원 유씨 문제가 아직 풀리지 않은 상황에서 다른 억류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도 지적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특히 서해 북방한계선이나 군사분계선에서 남북한 군사적 충돌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합니다.
따라서 군사적 충돌이 실제 발생할 경우 유 씨의 억류 장기화는 물론 개성공단을 비롯한 북한 지역에 체류 중인 한국 국민의 신변 안전도 장담할 수 없을 전망입니다.
김규철 남북포럼 대표입니다.
김규철: 남북한의 경색 국면이 악화된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대규모 억류 및 인질을 예방하기 위한 유일한 대안은 개성공단을 비롯한 북한 지역에 체류 중인 남측 인원들을 사전에 철수시키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한국 정부는 북한이 핵실험을 했던 지난 25일 현지에서 북한 측 인원과 접촉을 가급적 자제하고 불필요한 이동을 최소화해 달라는 내용의 신변안전관리 지침을 개성공단과 금강산 지역에 보냈습니다.
이번 신변안전관리 지침은 지난 4월 5일 북한이 로켓을 발사했을 때도 현지에 하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