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한국의 외교통상부는 북한의 ‘광명성 3호’ 발사 계획과 관련해 유엔 차원의 조치를 포함해 모든 가능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현 단계에서 구체적인 조치가 검토되고 있는 것은 설명할 내용이 아직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정부는 북한의 ‘광명성 3호’ 발사가 ‘중대한 도발행위’라는 입장을 밝혔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책은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일부 언론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북한을 회부하는 방안이나 대북 금융제재의 가능성을 보도하고 있지만, 한국의 외교통상부는 20일 북한의 로켓 발사 계획의 철회를 위한 “외교적 노력”만 언급할 뿐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지 않았습니다. 조병제 대변인입니다.
조병제:
유엔 차원에서의 별도의 조치에 대해서는 모든 옵션은 다 열려 있습니다만, 현 단계에서 구체적인 조치가 검토되고 있는 것은 설명드릴 만한 내용이 아직 없습니다.
북한이 로켓 발사와 관련해 국제기구에 좌표를 통보했는지에 대해서도 조 대변인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자체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기 때문에 더 이상 기술적인 사안에 대해서 논의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중국 정부의 북한에 대한 입장과 관련해서도 조병제 대변인은 “한중 양국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해 우려를 공유하고 있다”면서 “중국도 북한의 미사일 발사 계획을 철회하도록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북한이 2009년 2차 핵실험을 한 이후 결의안 1874호를 통과시킨 바 있으며, 이는 탄도 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모든 종류의 발사를 금지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번에 북한이 발사하는 게 미사일이건 위성이건 상관없이 유엔 결의 위반이라는 게 국제사회의 공통된 의견이라고 한국의 외교통상부는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