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학생들 중 상당수가 생활고로 인해 학교를 다니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북한 당국이 자녀를 학교에 보내지 않는 부모들을 처벌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았다는 소식입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북한은 김정은 제1비서의 집권 이후 2세 교육에 나름대로의 정성을 쏟고 있는데도 학교에 나오지 않는 학생 수가 늘어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북한당국이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학부모들을 압박하고 나섰습니다.
최근 중국방문에 나선 황해북도 주민 문 모 씨는”앞으로 자식들을 학교에 보내지 않는 학부모는 이유불문하고 엄중 처벌하겠다는 방침을 당국이 내놓았다”고 자유아시아 방송(RFA)에 전했습니다.
자녀를 학교에 보내지 못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생활고 때문인데 서민들의 생활고는 외면한 채 처벌만 앞세우는 것은 서민들의 가슴에 못을 박는 조치라고 문씨는 말했습니다.
이 주민 소식통은 또 “처벌의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얘기는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아마도 노동단련대에 보내지게 될 것이라는 얘기가 떠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현재 일부 북한 농촌이나 지방 소도시 소학교의 경우 학생정원의 절반가까이가 학교에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는 실정”이라면서 “이는 꼬마계획을 비롯한 각종 지원물자 과제와 교재비 부담을 감당할 능력이 없는 부모들이 부득이 자녀들을 학교에 보내지 못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소학교 아이들에게 각종 물자조달을 부담시키는 ‘꼬마계획’이 서민들에게는 감당하기 어려운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밖에도 문씨는 “학교에 나가지 않는 일부 아이들은 아예 집을 떠나 꽃제비로 떠도는 아이들도 많다”면서 이런 경우는 아이를 다시 학교에 보내고 싶어도 방법이 없어 큰 낭패”라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 탈북자 이 모 씨는”북한에서는 1년에 상,하반기로 두 번 나누어 실시하는 ‘꼬마계획 총화’ 때가 되면 온 식구가 밤잠을 설친다”면서 자녀를 학교에 보내지 않는다고 다그칠게 아니라 꼬마계획부터 없애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씨는 그러면서 “학교를 가지 못하는 어린 아이들은 부모들의 생계활동을 돕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그 중 상당수는 집을 뛰쳐나가 같은 처지에 있는 아이들끼리 무리를 지어 이 도시 저 도시를 떠돌며 도둑질과 소매치기 등을 일삼아 사회불안 세력으로 분류되기도 한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중국의 대북소식통들은 학교를 외면하는 학생들이 줄어들지 않는 것은 인민사랑을 앞세운 김정은 제1비서의 야심작인 의무교육 연장조치를 퇴색시킬 수 있으며 최고지도자의 권위를 크게 손상시키는 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고 분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