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부 "안보리 대북 결의안 조만간 타결"

미국 국무부는 유엔의 안전보장이사회가 논의 중인 북한에 대한 제재 결의안이 조만간 타결될 전망이라고 밝혔습니다.

노정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국무부의 관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관련국이 결의안 내용의 표현과 문구의 수위를 조절하면서 합의에 많은 진전을 이뤘다고 9일 밝혔습니다. 이 관리는 수전 라이스 유엔 주재 미국 대사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에 대한 제재 결의안을 채택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을 상황이라고 말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라이스 미국 대사는 9일 유엔에서 기자들과 만나 유엔 안보리의 5개 상임이사국과 한국, 일본이 대북 결의안에 관해 강력하고 생산적인 협의를 하고 있지만 언제 결의안이 채택될지는 자세히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남한의 연합뉴스는 유엔의 고위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안보리 상임 이사국과 한국 일본이 9일 결의안 초안에 최종 합의했다고 보도했습니다. 하지만 합의 직전에 러시아가 본국의 지시를 받아야 한다는 이유를 들어 이를 거부해 최종 합의는 다소 늦어지게 됐다고 전했습니다.

하지만 결의안의 내용 중 북한 선박의 검색 강화와 관련해 이견을 보이던 중국 측이 새로운 절충안을 받아들였기 때문에 러시아 측이 이에 합의하는 대로 안전보장이사회는 회의를 열어 새로운 대북 제재 결의안을 채택할 예정입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최종적으로 마련한 대북 결의안의 내용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3년 전 북한이 1차 핵실험을 했을 당시 합의한 안보리 결의 1718호보다 더 강력한 제재 조항을 담고 있습니다.

이번 유엔 결의안은 무기에 대한 금수 대상을 탱크와 전투기, 미사일 등 중화기에 한정한 지난 결의안과 달리 거의 모든 무기로 확대했으며 안보리의 모든 회원국은 항구나 공항을 포함한 자국 영토에서 북한을 오가는 모든 화물을 검색하도록 규정했습니다. 또 대량살상무기나 무기를 실었다고 의심되는 북한 선박을 공해상에서 수색할 수 있는 내용도 포함됐습니다.

이밖에도 북한에 대한 강도 높은 금융 제재를 위해 국제 금융기구의 대북 지원을 금지하면서 핵과 미사일에 관련된 내용보다 더 금융 제재의 범위를 확대했습니다.

미국 국무부의 이언 켈리 대변인도 9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북한의 2차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에 대한 국제사회의 강력하고 일치된 대응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 중이라면서 많은 진전을 보인 결의안이 곧 타결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이 2차 핵실험을 한 이후 대북 제재 결의안을 위해 2주 이상 계속된 안보리 회의는 10일 다시 열릴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