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미국 국무부의 제임스 스타인버그 부장관은 19일 천안함 침몰사고와 관련한 한국정부의 조사가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진행됐다고 말했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스타인버그 부장관은 이날 워싱턴의 미국외교협회(Council on Foreign Relation)가 주최한 토론회에서 참석해 한국정부는 천안함 침몰의 원인과 관련해 의도한 결론을 위해 조사하지 않고 진실을 파악하려고 노력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스타인버그 부장관은 천안함 침몰사고의 원인을 찾기 위한 한국정부의 조사과정을 신뢰할 수 있다고 평가하면서 미국은 조사 초기부터 한국과 긴밀히 협력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제임스 스타인버그: 미국 전문가들이 조사 시작 때부터 참여했습니다. 미국 해군은 해군함 침몰과 관련한 많은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고 이를 공유했습니다. 미국을 비롯해 영국, 호주, 스웨덴의 전문가가 참여해 국제공조로 조사가 진행된 점도 중요합니다.
스타인버그 부장관은 북한이 천안함의 침몰의 배후로 지목될 경우 미국 정부가 어떤 조치를 취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발표 이후의 상황을 가정해 답할 수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북한의 핵개발을 막기 위해 국제사회가 적극적으로 유엔 대북제재를 이행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일본국제문제연구소의 군축•비핵화 촉진센터의 노부야스 아베 소장은 북한의 핵포기를 위해 강력한 제재와 회유를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유엔의 군축 담당 부사무총장을 지낸 아베 소장은 토론회 뒤 자유아시아방송(RFA)과 만나 한국 정부가 북한을 천안함 침몰의 배후로 지목하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회부해도 추가 제재를 결정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노부야스 아베: 안보리가 현재의 제재보다 더 강력한 처벌을 결정하기는 쉽지 않아보입니다. 지금의 유엔 제재로 충분히 북한을 압박할 수 있습니다. 천안함 침몰사고로 대북결의를 적극적으로 이행하려는 유엔 회원국이 늘 수 있습니다. 국제사회가 유엔 결의를 철저하게 이행하면 북한이 오래 버티지는 못할 것으로 봅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군축과 비핵화 특사인 압둘 민티 대사는 핵개발을 포기한 남아공의 예를 들면서 핵이 안보를 보장하는 것이 아니라 국제사회와 대립각을 세우면서 오히려 불안만 키우게 된다는 점을 북한에 설득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