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천안함 침몰사건 2주기를 맞아 백령도에서는 전사자 46명을 위로하는 위령탑 참배와 해상 위령제를 올려 안타깝게 희생된 장병들을 추모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천안함 전사자 46명을 위한 2주기 추모식이 26일 대전 국립현충원에서 거행됐습니다. 다음 날인 27일에도 천안함 전사자 위령탑 참배와 해상 위령제를 지내 추모 분위기를 이어갔습니다.
천안함 전사자 위령탑은 천안함이 어뢰공격으로 침몰한 지점에서 불과 2.5km 떨어진 해안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세 개의 삼각뿔이 8.7m 높이로 치솟아 있는 주탑은 영해와 영토, 국민을 언제나 굳건히 수호하겠다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또한 주탑 아래는 희생 장병 마흔여섯 명의 얼굴이 새겨진 보조탑이 있어 고인들의 영령을 위로했습니다. 이날 행사는 천안함 희생자 유가족과 천안함 승조원 대표, 그리고 해군 해병대 현역 장병 등 12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최윤희 해군참모총장의 추모사를 대독한 해군본부 엄현성 소장은 “적이 완전히 굴복할 때까지 철저히 응징해 희생자들의 원통함을 기필코 풀어주겠다”며 “다시는 이 땅의 부모형제들이 애절한 눈물을 흘리지 않도록 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위령탑 참배 이후 참석자들은 천안함 피격 해역으로 이동해 해상 위령제를 올렸습니다. 삶의 터전인 백령도 앞바다에서 사고를 당한 젊은 장병들의 영혼을 위로하는 마음에서 일부 주민들도 함께 했습니다.
[녹취: 백령도 주민]
“불의의 사고를 당한 뜻을 기리고 앞으로 이런 사건이 두 번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마음에서..”
같은 시각 한국군은 서해를 비롯해 동해와 남해에서 해상기동훈련을 실시했습니다.
[녹취: 윤원식, 국방부 부대변인]
“부대별 여건에 맞게 각종 훈련과 상기행사를 통해서 안보 태세를 굳건히 하기 위한 결의를 다지고..”
이번 훈련은 북한의 도발에 대비한 것으로 28일까지 진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