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시리아 협력, 큰 성과 기대 난망

0:00 / 0:00

앵커 : 북한과 시리아가 나진·선봉 등 경제특구에 대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한 가운데 한반도 전문가들은 이 협력의 의미와 영향에 대해 냉소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정아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북한과 시리아가 평양에서 경제공동위원회 제8차 회의를 열고 경제무역과 과학기술협조에 관한 의정서를 체결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5일 보도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양국의 정부 대표단이 평양 만수대의사당에서 나선과 황금평, 위화도 등 특수경제지대와 자유지대에서의 상호협조에 관한 양해문에 조인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미국의 외교안보 연구소 ‘외교정책포커스’의 존 페퍼 소장은 시리아가 특별히 북한에 많은 경제적 지원을 하고 투자를 할 상황도 아닐 뿐 더러, 북한과의 외교적 정치적 관계를 증진하겠다는 것도 아니라면서 냉소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페퍼: 북한은 이집트 등과 같은 중동 국가들과 이미 경제 협력을 맺어왔습니다. 하지만 북한과 정치적 외교적 관계를 더 돈독히 하려는 의도는 전혀 없죠.

더 나아가 페퍼 소장은 북한에게 시리아와의 경제 협력 관계에 대한 결정 자체가 경제적으로 그리 이득이 되지도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정부군과 반군의 격렬한 교전이 벌어지고 있는 시리아와 경제 협력을 맺는 것은 현명한 선택이 아니라 절박한 선택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페퍼: 이 시점에서 극도로 불안한 상황에 놓여있는 시리아와의 경제 협력이 현명한 경제적 결정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북한은 나진 선봉 등에 대한 경제협력을 원하겠지만, 현재 시리아의 상황을 보면 이익을 많이 얻을 수 있는 선택이 아닙니다.

북한인권위원회의 그레그 스칼라튜 사무총장도 시리아의 정국이 매우 불안하기 때문에 다른 국가들은 통상적으로 현 시점에 시리아와 경제 협정을 맺지는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이 그만큼 경제 협력이 절실하기 때문에 한 선택이라는 겁니다.

스칼라튜: 북한은 시리아와 어떤 분야에서건 협력하려 할 것입니다. 특히 북한은 현재 외화를 끌어들이는 일은 무엇이든 하고 싶죠. 하지만 북한이 그리 현명한 대 중동 외교 정책을 펼치고 있는 것은 아니죠.

그는 김정은 체제 아래 북한 정권이 심각한 경제난에 어떤 방식으로든 해외 투자를 끌어내고 외화를 벌어들 일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으며, 이의 일환으로 시리아와 협력을 맺었을 뿐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조선중앙통신은 북한과 시리아가 지난달 30일부터 5일까지 평양에서 경제공동위원회 제8차 회의를 열고 경제무역과 과학기술협조에 관한 의정서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최근 북한은 중동의 허브 아랍에미리트(UAE)와도 항공협정에 가서명 했으며, 비준만 되면 이론적으로는 바로 다음 날부터라도 양국 간 항공편 운항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