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아름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국무부는 26일 북한의 2차 핵실험과 관련해 현재 북한이 가는 길의 방향을 되돌리지 않으면 대가를 치르게 된다면서, 이 문제에 대해 미국은 중국, 러시아, 한국, 일본 등 관련국들과 "강하고 통일된 대응"을 해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국무부의 이언 켈리 대변인은 정례 기자회견에서 북한의 2차 핵실험과 관련해 "이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718호의 명백한 위반"이라면서 유엔 안보리를 통해 실질적인 결과를 가져올 새 결의안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켈리 대변인은 특히, 아직 6자회담의 재개를 포기하지 않았다면서도 미국이 국제 사회와 함께, 또 국내적으로 취할 수 있는 모든 방안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말해, 6자회담 이외의 다른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점을 재차 확인했습니다.
켈리 대변인은 '테러지원국 재지정'도 검토하느냐는 질문에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그것도 검토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켈리 대변인은 또, 지난달 30일 북한이 6자회담에 복귀할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한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의 발언이 아직 유효하냐는 질문에, 북한이 아직도 이 발언을 뒤집을 만한 확신을 주고 있지 않다고 말해 6자회담을 비롯한 대화 중심의 북핵 해결에 대한 미국의 좌절감을 비쳤습니다. 켈리 대변인은 이에 더해 (북한에 대한) 미국의 인내가 무한하지는 않다고 잘라 말했습니다.
한편, 켈리 대변인은 한국이 PSI, 즉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에 전면적으로 참여하겠다고 공식 선언한 데 대해, 미국이 한국의 결정을 환영하며 한국을 포함한 참여국 95개국과 핵무기나 생화학무기 같은 대량살상무기의 확산을 방지하는 데 더 노력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