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민화협 통한 물밑 접촉설 Q/A

0:00 / 0:00

MC:

남과 북이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서 물밑 접촉을 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추정이 나오고 있습니다.

서울의 박성우 기자와 함께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진행자: 박성우 기자, 안녕하세요.

박성우: 네, 안녕하세요.

진행자: 남북 물밑 접촉설이 불거지고 있다면서요?

박성우: 그렇습니다. 주요 20개국 G20 정상회의가 지난주에 끝난 걸 계기로 ‘이제는 남북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움직임이 있을 것’이라는 추정이 계속 있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최근 들어서 남북 간 물밑 접촉이 있었다는 보도가 자주 눈에 띄었는데요.

예로 들자면 한국의 국가정보원이 지난 9월 말에서 10월 초쯤에 북측과 비밀 접촉을 갖고 ‘천안함 사건을 인정하고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하라’고 북측에 요구한 걸로 알려졌다는 소식이 15일에 보도됐습니다.

또 북측이 남측과 접촉해서 대북 지원을 요청했다는 설이 연이어서 제기됐습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지난 주말 중국 선양에서 이뤄진 남측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와 북측의 대남 기구인 민족화해협의회(민화협) 관계자들의 만남을 들 수 있습니다. 남북 모두 단체의 명칭은 다르지만 둘 다 통상 ‘민화협’이라고 부르지요.

당시 만남은 북측 민화협의 요청으로 이뤄졌고, 북측은 이 자리에서 ‘남북관계를 잘 풀어나가고 싶다. 대통령 특보인 남측의 김덕룡 민화협 대표상임의장이 큰 역할을 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17일 보도됐습니다.

이렇게 되니까 남북 양측이 물밑에서 접촉하면서 뭔가를 준비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추정이 다시 불거졌고, 이런 내용을 다룬 기사가 17일과 18일 연이어 보도됐습니다.

진행자: 이런 시점에 김덕룡 민화협 대표상임의장이 중국을 방문했지요?

박성우: 그렇습니다. 물밑접촉 보도가 나온 상황이어서 김덕룡 의장의 일거수일투족이 관심을 받고 있는데요. 김 의장이 17일 중국 상하이로 출장을 떠났습니다. 이건 “민화협 지부의 창립 행사 때문”이고 “김 의장은 18일 민화협의 또 다른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북경으로 이동한 다음 19일께 귀국할 예정”이라고 민화협 관계자가 말했습니다.

진행자: 남측 민화협은 ‘물밑 접촉설’에 대해서 뭐라고 설명하고 있나요?

박성우: 민화협 관계자는 일단 언론의 보도 내용을 부인했습니다. “북측이 김덕룡 대표상임의장의 역할을 요청했다는 건 소설 같은 얘기”라는 겁니다.

지난 주말 만남에서 대북 수해지원 문제가 논의됐고,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경색된 남북관계를 풀기 위한 다양한 이야기가 오갔을 가능성은 있지만, 북측이 뭔가 정치적인 돌파구를 찾기 위한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인 건 아니라는 설명입니다.

그리고 이번에 김덕룡 의장이 중국에 머무는 동안 북측과 접촉할 계획은 “전혀 없다”고 남측 민화협의 관계자는 덧붙였습니다.

진행자: 한국 정부는 ‘남북 물밑 접촉설’이 나오는 데 대해서 어떻게 설명하고 있나요?

박성우: ‘정부 당국 간 접촉은 없었다’고 말합니다. 그러니까 민간 차원의 접촉은 있었을지 모르겠지만, 책임 있는 당국 간 대화가 있었던 것은 아니니 확대 해석하지 말라는 당부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진행자: ‘물밑 접촉설’이 나오고, 이걸 한국 정부가 부인하고… 이런 일이 되풀이 되는 건 아무래도 사람들의 관심이 남북 정상회담의 성사 가능성에 맞춰지고 있기 때문이겠지요?

박성우: 그렇습니다. 김대중과 노무현 전 대통령이 임기 중에 북측과 정상회담을 한 차례씩 했기 때문에 이명박 대통령도 그렇게 하지 않겠느냐는 추정이 있는 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의 정상회담과 관련한 입장은 단호해 보입니다.

11월1일 임태희 대통령 실장은 “정상회담의 성사 여부는 북한에 달려있다. 북한의 본질적 태도가 변하지 않는 상황에서 회담을 위한 회담은 하지 않는다. 북한이 변화에 대한 진정성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11월2일 김황식 국무총리는 “정상회담이 개최되려면 북한의 변화된 모습과 남북관계의 실질적인 변화가 이뤄질 수 있는 여건 조성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14일자 아사히 신문 인터뷰에서 이명박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를 유지하고 북한의 비핵화라는 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언제라도 정상회담이 가능하다. 그러나 국내 정치적인 목적으로는 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정리해보자면, 남측은 정상회담의 성사 조건으로 북측의 ‘본질적인 태도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지요. 이건 핵 문제와 남북관계에 모두 적용되는 사항이고요. 특히 남북관계에 있어서는 천안함 문제를 해결하는 게 선결 요건이라는 인식이 깔려있다고 정부 당국자들은 말합니다.

남측은 지난 5월24일에 천안함 사태에 따른 이른바 5•24 조치를 취했지요. 대북 교류와 교역, 투자를 중단하는 게 핵심이었는데요. 이명박 대통령은 당시 이런 내용을 발표하면서 “북한이 대한민국과 국제사회 앞에 사과하고 이번 사건 관련자들을 즉각 처벌해야 한다”고 요구한 바 있습니다.

진행자: 박성우 기자, 수고했습니다.

박성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