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한국의 국회가 북한의 무력 도발을 규탄하는 결의안을 채택했습니다. 북한의 사죄를 요구하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국회는 25일 본회의에서 북한의 서해 연평도 포격을 규탄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습니다. 박희태 의장입니다.
박희태: 북한의 무력도발 행위 규탄 결의안은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결의문은 북한의 “무력 도발 행위”를 “침략 행위”로 규정하고 즉각 중단할 것을 “엄중히” 경고하며 북한의 “명백한 범죄행위”로 인해 초래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이 “전적으로 북한에 있다”고 강조하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여기에는 또 “북한의 사죄와 재발방지를 강력히 요구한다”는 내용도 담겼습니다.
당초 민주당은 결의안에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즉각적인 대화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는 문구를 포함하길 희망했습니다.
하지만 해병대원 2명뿐 아니라 2명의 민간인 희생자까지 발생하자 민주당은 기존 입장을 접게 됩니다. 전현희 대변인은 “민주당은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초당적 협력이 필요하다는 차원에서 이번 결의안에 대해 반대하지 않고 통과시키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의 양보가 있었지만, 결의안의 내용에 대한 불만이 없었던 건 아닙니다.
미래희망연대의 송영선 의원은 결의안의 내용이 너무 평이하다는 걸 문제 삼았습니다. “북한의 반인륜적인 만행을 반드시 보복하고 응징하겠다는 내용이 없다”는 점도 지적했습니다. 국회 본회의장에서 발언하고 있는 송영선 의원입니다.
송영선:
폭행사건 합의서 수준에 불과한 이 결의안의 내용을 연평도에 포격을 명령하고 진두지휘한 김정일 정권과 북한군 수뇌부가 보고 어떻게 느끼겠습니까? 대한민국 국민을 대표하는 국회의 분노와 결연한 의지를 과연 느낄 수 있겠습니까?
송 의원의 발언이 끝나자 의원들은 “잘했어”라며 격려의 말을 전했습니다.
뒤이어 발언대에 선 진보신당의 조승수 의원. 조 의원은 국회의 냉정한 대응을 요구하며 결의안에 대한 반대 입장을 밝혔습니다. “전쟁에 반대하는 국민의 목소리와 한반도 평화를 어떻게 실현할 것인지가 결의안에 진지하게 담겨야 한다”는 겁니다.
조 의원이 이 같은 내용의 연설을 하는 사이 다른 의원들은 항의성 야유를 보냈습니다. 일부는 조승수 의원을 “빨갱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조승수:
저는 냉정한 판단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북한의 군사 도발에 대해서는 규탄하더라도 우리 국회는 이 문제의 원인을 짚어내고 항구적으로 평화체제를 어떻게 건설할 것인지 분명하게 입장을 담아내야 합니다. (야유 소리)
결의안에 대한 찬성 토론에 나선 한나라당의 정옥임 의원은 “이번 결의안에는 모든 내용이 담겨 있다”면서 “항구적 평화체제라는 정치적 수사가 우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주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정옥임:
국가 안보의 위기 앞에서 정파와 이념의 대립은 무용지물입니다. 상황도 종료되기 전에 책임론으로 적전 분열하는 것은 병들어가는 김정일 정권을 기사회생시키는 처방전이 될 것입니다.
북한의 서해 연평도 포격을 규탄하는 결의안은 재석의원 271명 중 찬성 261표, 반대 1표, 기권 9표로 통과됐습니다. 유일한 반대표는 진보신당의 조승수 의원에게서 나왔습니다. 이밖에 민주노동당 소속 5명의 의원 전원과 민주당 1명 등 모두 9명이 기권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