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지금까지 북한에 유입되는 남한 상품은 주로 중국을 통해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는 개성공단을 통해 남한상품이 북한에 유입되는 양이 증가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자세한 내용 중국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전합니다.
북한에 들어가는 남한 상품의 경유지로 자리매김 하고 있는 중국 단동이 앞으로는 개성공단에 그 자리를 내주어야 할지도 모른다고 합니다.
개성공단을 통해 북으로 들어가는 남한 상품의 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탓에 그동안 남한상품 구매를 위해 중국 단동을 찾던 북한 단골손님들의 발길이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다는 것입니다.
중국 단동에서 한국제품을 주로 취급하는 조선족 상인 박 모 씨는 “한국 상품 구매를 위해 단동에 나오는 북한 손님들의 수가 하반기부터 확연하게 줄어들었다”며 “개성공단을 통해 한국 상품이 북한에 들어가고 있고 이런 추세가 계속된다면 중국 변경도시의 남한상품 전문 판매상들이 장사하기 어려워질 것 같다”고 자유아시아 방송(RFA)에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남한물건을 구입하러 온 북한 손님들이 요즘 들어서 가격에 대한 불평을 많이 한다”면서 “개성에서 들어오는 남한물건보다 값이 비싸다며 발길을 돌리는 경우가 많다”고 덧붙였습니다.
한국에서 중국으로 들어오는 남한상품에 대해서는 물류수송비와 관세에 대한 비용이 추가되기 때문에 개성을 통해 바로 북한으로 들어가는 물건과 가격 경쟁력에서 절대 불리하다는 게 박 씨의 설명입니다.
개성공단 내부 사정에 밝은 북한 출신 화교 주 모 씨는 “개성공단을 통해 북한으로 들어가는 한국 물품의 양이 작은 규모가 아닌 것으로 안다”며 “개성공단 입주업체에서 근무하는 한국 직원들과 북한 관료들도 이런 사실을 알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주 씨는 이어 “개성공단에서 북한 노동자들에 간식으로 지급되는 초코파이가 대부분 북한 장마당으로 흘러들어 간다는 얘기는 다른 물품의 유입에 비하면 별것 아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금년 봄 친척 방문차 중국을 방문했던 황해도 사리원의 한 주민도 “개성공단에서 나오는 남한 물건을 받아다 장사해서 먹고 산다”고 자유아시아 방송(RFA)에 증언한 바 있습니다.
개성공단을 통해 북한에 유입된 한국 물건은 평양은 물론 내륙 깊이까지 유통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근 중국을 방문한 함경북도 청진 주민은 “장마당에서 개성공단을 통해 흘러나온 한국 물건들을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다”며 “장마당에서 신라면 같은 한국 식품 가격이 중국에서 판매되는 가격보다 눅게 거래되는 경우가 많아 의아했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 “국경 세관에서는 한국 물품 반입을 눈에 불을 켜고 검사하면서 다른 통로(개성공단) 단속은 왜 안하는지 모르겠다”면서 북한 당국의 이중적인 처사를 비아냥거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