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탈북자가 설립한 북한인권단체가 한국에서 활동 중인 대북 인권단체로는 처음으로 유엔 공식 회의에 참여하고 자문할 수 있는 '협의기구' 지위를 얻었습니다. 이 단체는 국제사회에 직접 북한의 인권을 알리는 좋은 기회라고 밝혔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탈북자 김영일 씨가 2006년 설립한 ‘성공적인 통일을 만들어가는 사람들’ 이른바 ‘성통만사’가 한국의 대북 인권단체로서는 최초로 유엔 ‘협의기구(Consultative Status)’ 지위를 얻었다고 이 단체의 남바다 사무국장이 9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남바다 사무국장: 탈북자 단체 중에서, 또 북한인권단체 중에서는 저희가 처음인데요. 저희 단체 대표님이 탈북자인데 한국에 정착해 북한 인권 단체를 만들어 활동하고 또 그 단체가 유엔에서 직접 발언할 수 있는 협의기구 지위를 받았다는데 의미가 있습니다.
유엔의 경제사회이사회는 심사를 통해 민간단체들이 각종 유엔 회의에 참석해 특정 사안에 대한 보고서를 제출하거나 공식적인 발언을 할 수 있는 ‘협의기구’ 지위를 부여합니다. 현재 ‘굿네이버스’, ‘참여연대’, ‘자유총연맹’, ‘우리민족서로돕기’ 등 30여 개 한국 단체가 ‘협의기구’ 지위를 갖고 있지만 북한 인권 단체로는 ‘성통만사’가 처음으로 지위를 획득한 것이라고 남 사무국장은 설명했습니다.
‘성통만사’는 ‘협의기구’ 지위를 획득한 후 처음으로 오는 9월 10일부터 3주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릴 유엔 인권이사회에 참석하고 북한의 인권 침해 상황과 탈북자들의 이야기를 국제사회에 알립니다.
남 사무국장: 저희는 9월 9일부터 15일까지 갑니다. 이번에 10명에서 15명 안팎의 인원을 선정해 북한인권 캠페인을 하기 위해 준비 중입니다.
남 사무국장은 이번 캠페인에 참가할 대표단을 선정하는 데 수 백 명의 인원이 지원했다면서 현재 정치범수용소나 강제북송 등 북한 인권 문제의 어떤 부분을 알리는 것이 가장 필요한 지 연구 중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성통만사’는 유엔에서 ‘협의기구’ 지위를 받기 위해 수 년간 노력해 왔습니다. 자신도 탈북자인 김영일 대표가 북한의 인권을 개선하기 위해 활동하고 특히 탈북자를 남북한의 통일에 대비한 인재로 양성하기 위한 ‘탈북자 교육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해 온 것이 인정받은 것 같다고 남 사무국장은 평가했습니다.
이 단체는 탈북자가 북한과 다른 한국의 실정을 몰라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는 것에 착안해 이른바 1대 1 과외 프로그램, 영어교실, 문화활동 같이 하기 등 탈북자 교육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