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정상회담 개최설 진화 나서

0:00 / 0:00

MC:

청와대는 ‘연내 남북 정상회담 개최설’에 대해 “구체적으로 추진되거나 준비되고 있는 것은 없다”고 말했습니다. 3-4월 정상회담 개최설이 나오는 등 국민의 관심이 폭증하자 청와대와 관련 부처가 진화에 나선 걸로 보입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이명박 대통령이 2일 국무회의에서 남북 정상회담과 관련한 대원칙을 밝혔습니다.

이 대통령은 최근 남북 정상회담과 관련한 `관측성 언론보도'를 언급한 다음, “남북 정상회담은 확고한 원칙 아래 추진할 수 있는 것”이며 “그 원칙이 충족되지 않으면 성사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정상회담을 위한 대가는 있을 수 없다는 전제하에 남북 정상이 만나야 하며, 이 원칙을 양보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이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지난 29일 영국 B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아마 연내에 (김정일 위원장을) 만날 수 있을 것 같다고 본다”고 말한 지 5일 만에 나왔습니다. 이르면 3-4월 회담 가능성까지 점쳐지자 대통령이 진화에 나선 걸로 보인다는 설명입니다.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김근식 교수입니다.

김근식: 정상회담 논의가 지금 물밑으로 진행되는 상황에서 지난 BBC 방송 인터뷰는 북한에 대한 좀 우호적인 입장을 표명한 것이라면, 이번에 국무회의에서 원칙을 강조한 발언은 정상회담에 대한 우리 정부의 단호한 입장을 확인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대통령이 원칙을 강조한 것은 서두르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명으로도 해석됐습니다.

이날 서울외신기자클럽에서 회견을 한 현인택 통일부 장관도 “이 대통령이 연내 정상회담 가능성을 언급하긴 했지만, 이는 희망 사항을 이야기한 것”이라면서 “반듯이 연내에 일어난다, 아니다라고 말하기는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현인택: 최근에 정상회담에 관한 여러 가지 보도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만, 아직은 아무것도 결정된 게 없습니다.

현 장관은 또 정상회담의 장소 문제는 융통성을 발휘할 수 있지만, 북한의 비핵화라는 가장 중요한 의제에 대해서는 양보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현인택: 북핵 문제가 언급되는 정도는 큰 의미가 없고, 어떤 구체적인 진전이 있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밖에도 한국 정부는 국군포로와 납북자 문제를 의제로 논의할 수 없다면 정상회담은 무의미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청와대 관계자는 말했습니다.

이날 이명박 대통령의 발언은 국무회의가 끝날 무렵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남북 정상회담에 관해 현인택 통일부 장관에게 질문하자 “통일부 장관이 답변할 정도로 진행되는 게 없다”며 이 대통령이 직접 설명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이라고 박선규 청와대 대변인은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