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한국의 외교통상부는 북한의 연이은 남북회담 제의 배경과 의도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외교통상부는 북한이 5일 남북 당국 간 회담을 제의한 데 대해 진정성이 필요하다는 그간의 원칙을 다시 한 번 확인했습니다. 그러면서도 한국 정부가 북측의 대화 제의를 무시하지도 않고 있음을 내비쳤습니다. 김영선 대변인입니다.
김영선: 북한이 남북대화 그리고 남북관계에 있어서 진정성 있는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해 왔습니다. 이번 제의와 관련해서는 배경이나 의도에 관해서 관계부처 간에 검토 중인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김 대변인은 “정부가 이번 북측의 제안을 무게감 있게 받아들이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반드시 그런 걸 상정하고 언급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김 대변인은 “북한의 진정성은 단지 말이 아니라 구체적인 행동을 통해 판단하는 게 필요하다는 원칙론적인 입장을 말한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통일부의 어느 당국자는 북측이 신년 공동사설에 이어 5일 ‘정부 정당 단체 연합성명’을 통해 “당국 사이의 회담을 무조건 조속히 개최할 것”을 주장한 것은 “통일전선 차원의 대남 선전공세”라고 규정했습니다. “남북관계의 경색을 풀고 6자회담 재개 환경을 조성하는 동시에 남측의 인도적 지원 물자를 확보해 김정은 후계구도의 안착을 도모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어 보인다”고도 풀이했습니다.
북한의 ‘진정성’있는 태도가 무엇인지와 관련해 외교통상부의 김영선 대변인은 “한국 정부가 구체적인 조건에 대해 제기한 바는 없는 것으로 안다”면서 “그러나 연평도 포격이나 천안함 폭침 사건도 있었기 때문에 한반도의 긴장 완화에 있어서 한국 국민과 국제사회가 책임 있는 태도라고 볼 수 있는 북한의 조치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김 대변인은 또 “북한의 비핵화 문제도 남북 관계와 남북 대화에서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그런 문제에서 기존의 국제적인 의무를 이행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청와대의 김희정 대변인은 북한이 남북 간 회담을 제안한 데 대해 “객관적인 시선을 가진 해외 언론들은 진정성 있는 제안이라기보다는 홍보 전술로 보고 있다”면서 북한의 대화 의지에 대해 의구심을 보였습니다. 김 대변인은 북핵 6자회담의 재개 가능성과 관련해서도 “북한이 구체적인 행동으로 대화에 대한 진정성을 먼저 보여야 6자회담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국과 미국은 5일 보즈워스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의 서울 방문을 기해 ‘북핵 6자회담의 재개에 앞서 남북관계의 진전이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