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의 여파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현재로서는 북한과 대화할 의사가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한국 정부가 북한의 정권 교체를 적극 검토한다’는 보도도 나왔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현인택 통일부 장관은 북한의 연평도 도발에 따른 남북관계와 관련해 “현재로서는 북한과 대화할 여건이 마련돼 있지 않다”고 30일 말했습니다.
이 같은 발언은 이명박 대통령이 하루 전 ‘북한에 대한 기대를 접었다’는 내용이 담긴 특별 담화를 발표한 가운데 나왔습니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부별 심사에 출석한 현인택 장관입니다.
현인택:
지금 상황에서는 우리가 대화를 앞에 내세워 이야기하기에는 전체적인 분위기에 맞지 않는 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원칙적으로 대화의 필요성을 부정하지는 않지만 북한의 무력 도발로 민간인 희생자까지 발생한 시점에서 아무 일 없었다는 듯 북한과 대화할 수는 없다는 겁니다.
북한에 대한 국민의 악화되는 여론은 청와대에서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습니다. 천안함 사건에 이어 연평도 포격 도발이 발생하자 “이젠 북한을 대화가 가능한 상대로 보지 않는 분위기가 당국자들 사이에 팽배해지고 있다”고 청와대 관계자는 말했습니다.
하루 전 이 대통령의 담화에서 ‘북한이 사과하라’는 요구가 빠진 것도 북한을 더 이상 대화의 상대로 보지 않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대화를 배제한 상태에서 남는 건 북한에 대한 압박 전략”이라고 정부 관계자는 말하기도 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한국의 석간신문인 문화일보는 “언젠가는 북한이 변화할 것이라는 일말의 기대가 없어진 상황”이기 때문에 청와대는 그간의 대북정책 기조를 전면 수정해 “정권 교체도 적극 검토한다”는 내용을 30일자 1면 머리기사로 보도했습니다.
이 신문은 “북한이 핵을 포기하지 않거나 군사적 모험주의를 포기하지 않고 이대로 가면 북한은 종말이라는 점을 경고한다”는 청와대 고위 관계자의 말을 전했습니다. “북한이 변화하지 않는다면 김정일 정권을 직접 겨냥할 수 있다”는 겁니다.
하지만 청와대는 이 보도를 공식 부인했습니다. 청와대 대변인은 “한국 정부가 북한의 정권 교체를 검토하거나 정책화한 바 없다”고 말하고, “이명박 대통령도 이와 관련한 어떠한 언급을 한 적이 없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