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북한과 유연한 협력 준비”

0:00 / 0:00

MC:

한국의 이명박 대통령은 북한과 “유연한 협력”이 가능하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류우익 통일부 장관도 “북한과의 대화의 문은 열려 있다”면서 북측이 요구하는 6.15와 10.4선언의 이행 방안에 대한 논의도 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5일 통일부의 신년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일관된 대북 원칙”을 강조했습니다. “앞으로 북한에 어떤 변수가 생길지 모르지만, 우리는 (남측은) 일관되게 기본 원칙을 지켜나가겠다”는 겁니다.

하지만 북한과 “유연한 협력”이 가능하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이 정말 열린 마음으로 경제 자립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면서 “그래야만 남북이 서로 대등하게 통일을 이야기할 수 있다”고도 덧붙였습니다.

이 대통령은 특히 “북한은 시대착오적인 적화통일을 하겠다는 생각에서 빨리 벗어나야 한다”면서 “우리도 (남한도) 당장 흡수통일을 하겠다거나, 북한을 망하게 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지도 않고 시도도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류우익 통일부 장관도 “북한과의 대화의 문을 열어놓고 있다”면서 “남북 간에 책임 있는 고위급 대화 통로가 구축되고 그것이 안정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면 의제의 제한을 두지 않고 모든 문제를 협의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류우익

: 북측에서 요구하는 것처럼 되어 있는 10.4 선언과 6.15 선언의 이행에 관해서도 협의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북측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남측의 대북정책 전환을 촉구하면서 두 차례 남북 정상회담의 합의문인 6.15와 10.4 선언의 이행을 요구해 왔습니다.

천안함과 연평도 도발과 관련해 류 장관은 “북측의 사과가 대화의 전제 조건은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대화가 시작되면 다뤄야 할 “핵심 의제 중 하나”라고 덧붙였습니다. 류 장관은 또 “사과의 방법이나 사과를 하면 우리가 (남측이) 취할 수 있는 조치들에 대해 협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대화 제의를 누가 할 것인지와 관련해 류우익 장관은 “대화를 할 수 있는 여건이 되고 서로 그런 의사가 교환되면 대화 제의를 어느 쪽이 하든 상관이 없다”면서 “우리가 (남측이) 먼저 제안할 수도 있고, 북측이 제안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특단의 조치를 통해 대화 통로를 구축하겠다는 생각은 하지 않고 있다”면서 “우리가 (남측이) 대화를 하겠다는 가능성을 열어놓고 기다리는 것도 중요한 정책 수단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류우익 장관은 “북한이 좋은 선택을 통해 기회의 창을 열 수 있기를 기대한다”면서 “북한이 그 길로 나서면 우리는 (남측은) 동포애적 차원에서 기꺼이 나서서 전폭적으로 도울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