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한국의 류우익 통일부 장관은 “북한의 경제 회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나라는 대한민국뿐”이라고 말했습니다. “북한과 대화의 문은 열어둘 것”이라고도 말했습니다. 류 장관의 이날 발언은 국제사회가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계획을 비난하고 있는 가운데 나왔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류우익 통일부 장관은 서울에서 21일 열린 ‘북한 경제 글로벌 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계획이 “대단히 실망스럽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한국 정부는 “상생공영의 남북관계 발전에 대한 기대를 저버리지 않으려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류 장관은 “한국 국민에게 더 인내할 것을 요청한다”면서 “(북한과) 대화의 문은 계속 열어 둘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날 류 장관의 발언은 북한의 “도발적 행동”과 “심각한 안보 위협”에도 불구하고 한국 정부가 갖고 있는 남북관계 정상화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한 것이라고 통일부 김형석 대변인은 설명했습니다.
김형석:
기본적으로 지금 현재 여러 가지 국민적인 분노와 여러 가지 어려운 상황에 있지만, 그렇지만 남북관계를 정상화하겠다는 그러한 고심 하에서 대화의 문은 계속 열어두고 있다, 그런 가운데서 북한이 변화의 길로 나오기를 촉구한다, 이런 취지의 말씀을 좀더 강조했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북한의 경제 재건 노력을 도와줄 국가는 한국뿐”이라는 점도 류우익 장관은 강조했습니다.
류 장관은 “북한이 외부세계로부터 고립된 채 자체의 기술과 노력 동원으로 고질적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는 근본적인 한계가 존재한다”면서 “현시기 북한 체제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유일한 방안은 대화와 교류협력을 통한 남북관계 발전뿐”이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류우익 장관은 북한이 “핵개발과 군사적 도발, 비난과 위협으로 폐쇄적인 체제를 유지하는 데 급급하는 ‘나쁜 선택’이 아니라 국제사회의 건강한 성원으로 나와 대한민국과, 그리고 국제사회와 협력하며 민생을 돌보고 피폐한 경제를 회복시키는 ‘좋은 선택’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