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한국 통일부의 류우익 장관은 대북 ‘유연화 정책’으로 한반도가 “훈풍”을 맞을 수 있기를 기대했습니다. 하지만 천안함 사태와 관련해 류 장관은 자신의 유연화 정책이 북측에 면죄부를 준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류우익 통일부 장관은 자신의 대북 ‘유연화 정책’을 대승적 차원에서 한국이 북한에 먼저 손을 내민 행동이라고 해석했습니다. 지난해 천안함 사태로 심화된 남북관계의 경색을 남한이 먼저 나서서 풀어보겠다는 시도인 셈입니다.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13일 열린 외신기자 간담회에서 류 장관은 “결자해지라는 말이 있듯이 원인을 제공한 사람이 먼저 풀어야 하지만, 그런 선후를 굳이 따질 것이 아니라 우리가 먼저 북한으로 하여금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주자는 뜻에서 유연화 조치를 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류 장관은 또 “추운 겨울을 나기 위해 뭔가 훈풍을 맞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북측이 남한 정부의 유연화 조치에 호응하길 기대한 겁니다.
하지만 류 장관은 북한에 대한 유연화 정책이 “천안함 사태에 대한 북한의 도발 책임을 면죄하겠다는 뜻으로 오해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합니다.
류우익
: 북한이 어떤 이유로든 이것을 부인하고 있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고, 나는 진실을 인정하는 용기를 북한이 보여줄 것으로 기대합니다.
천안함 사태와 관련해 류 장관은 또 북측이 “진실을 지금껏 인정하지 못한 이유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남측이 북한 지도부의 입장을 최대한 이해해 줄 수 있다는 태도를 보인 겁니다.
하지만 “사과 없이는 미래로 향하는 길이 열리지 않을 것”이라는 점도 분명히 했습니다.
류우익:
현재로서는 경색 국면을 만든 원인이 해결되지 않으면, 적어도 한국이 취한 5.24 조치의 근간은 풀리지 않는다…
한국 정부는 대북 교류와 교역, 그리고 투자의 ‘전면 중단’을 골자로 하는 이른바 5.24 조치를 지난해 5월24일에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후 한국 정부는 류우익 장관이 취임한 9월부터 유엔 산하기구를 통한 대북지원을 재개하고 개성공단 내 공장 신축과 증축 공사를 허용하는 등 유연화 조치를 실행에 옮기고 있습니다.
북측은 이같은 남한의 유연화 조치를 “기만술책”고 최근 평가했습니다.
류 장관은 북측의 이 같은 태도는 “말의 수위를 봤을 때 비난 보다는 불평”에 가깝다면서 “인내심을 갖고 여유있고 일관되게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