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린턴 방북] 입닫은 국무부“개인적 활동”

미국 국무부는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의 방북과 관련한 언급 자체를 거부했습니다. 이는 철저히 민간 차원의 방북임을 강조하는 동시에 협상을 순조롭게 풀어가려는 노력으로 풀이됩니다.

0:00 / 0:00

노정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4일 정오 미국 국무부에서 열린 정례 기자회견.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의 깜짝 방북과 관련해 기자들의 질문이 쏟아졌지만 국무부의 로버트 우드 부대변인은 이에 대해 아무런 답변도 하지 않았습니다.

클린턴 전 대통령의 방북 일정에서부터 김정일 국방위원장에게 전달한 메시지의 성격, 방북 의미와 여기자들의 석방에 관한 질문에 대해 우드 부대변인은 모든 답변을 거부했습니다.

Robert Wood: I do not have a comment on that. No comment...

백악관의 로버트 기브스 대변인도 이날 정례 기자회견에서 클린턴 전 대통령의 방북에 관해 이는 개인적인 활동이며 여기자의 안전이 우선이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아무런 답변도 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Robert Gibbs: I put out a statement that this was a private mission that we weren't going to comment on while the former president was on the ground in North Korea. As a result of that, I don't have anything more to add on this at this time. 이번 방북은 개인적인 임무라고 발표했고, 클린턴 전 대통령이 북한에 체류하는 동안 어떤 언급도 하지 않겠습니다.

미국 국무부의 고위 관리는 지난 3일 오전부터 클린턴 전 대통령의 방북 확인에 관해 "아는 바 없다"며 확인을 거부했고, 클린턴 전 대통령이 평양에 도착하면 북한 측이 먼저 발표하기로 사전에 조율할 만큼 미국 정부는 이를 비밀에 부쳤습니다. 또 클린턴 전 대통령의 방북 사실을 알고 있던 미국 조지아 대학교의 박한식 교수도 3일 방북 사실의 확인을 요청한 자유아시아방송에 민감한 사안인데다 협상의 역효과를 우려해 이에 관해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았습니다.

미국의 백악관과 국무부가 클린턴 전 대통령의 방북과 관련해 어떠한 언급도 하지 않은 이유는 이것이 민간 차원의 방북임을 강조하고 여기자의 석방과 북핵 문제 등 각종 현안이 매우 민감하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했습니다.

의회조사국의 래리 닉시 박사는 클린턴 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저녁 만찬을 포함한 회담에서 미국과 북한 간의 여러 사안에 대해 대화를 나눴겠지만 클린턴 전 대통령이 어떤 말을 했는지 확인하기 전까지는 미국 정부의 입장이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Larry Niksch: 국무부는 클린턴 전 대통령이 북한에 머물면서 회담을 진행하는 동안 민감한 사안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언급도 하지 않을 겁니다. 또 백악관은 클린턴 전 대통령의 방북이 개인적인 일이라고 강조했고, 아마도 미국 정부가 이번 방북에 개입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었을 겁니다.

또 닉시 박사는 여기자의 석방이라는 인도적 사안으로 클린턴 전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했지만 정치적 현안에서 벗어날 수 없고 오바마 대통령의 메시지를 북한에 전달한 것도 놀랄만한 일은 아니라고 덧붙였습니다.

북한의 조선중앙통신은 클린턴 전 대통령이 여기자들의 불법 입국에 사과의 뜻을 표하고 대화로 문제를 해결하며 두 나라 사이의 관계개선과 관련한 견해를 담은 오바마 대통령의 구두메시지를 전달했다고 5일(현지 시간) 보도했지만 백악관은 이를 거듭 부인했습니다.

북한을 방문한 클린턴 전 대통령은 북한이 억류한 두 여기자를 면담했으며 결국 북한 당국이 여기자들을 특별 사면했습니다. 따라서 클린턴 전 대통령과 두 명의 여기자는 5일 미국에 돌아올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국무부의 우드 부대변인은 필립 골드버그 대북 제재 조정관이 러시아의 모스크바를 방문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 1874호의 이행 방안을 논의했으며 클린턴 전 대통령의 방북과 관계없이 이런 노력은 매우 중요하며 계속된다고 말했습니다. 또 6자회담과 여기자 문제는 별개라는 미국 정부의 입장도 변함이 없다고 우드 부대변인은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