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국영상점은 ‘귀족상점’

0:00 / 0:00

북한의 백화점을 비롯한 대부분의 국영상점들이 일반 서민들은 쉽게 접근할 수 없는 고급 사치품들로 매장을 채우고 외화결제만 고집하고 있어 주민들로부터 귀족 상점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고 합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전합니다.

평양을 비롯한 북한 대도시 소재 국영상점들이 일반주민들의 주머니 사정과는 동떨어진 영업행태를 보이고 있어 누구를 위한 국영상점이냐는 비판과 함께 주민들로부터 철저히 외면당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최근 친지방문차 중국에 온 평양주민 주 모씨는 "백화점이나 대형 국영상점은 돈 많은 간부나 특권층이 이용하는 곳이지 일반 주민들하고는 거리가 멀다"고 설명하면서 한마디로 특권층을 위한 '귀족상점'이라고 규정했습니다.

그는 이어서 "평양은 물론 지방도시의 국영상점들까지 물건 값을 외화로 받기 때문에 서민들의 출입을 어렵게 한다"며 "국영상점들이란 게 국가의 외화벌이 상점으로 변질되었다"고 비난했습니다.

함경북도 청진 주민 류 모 씨도 "국영상점이 나라에서 외화벌이 사업으로 운영하는 상점으로 바뀐 지 오래됐다"며 "김경희 경공업 부장이 북한외화벌이 상점을 모두 장악하고 있다는 소문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같은 북한주민들의 증언내용은 중국을 드나들며 상품을 조달하는 국영상점 지배인들의 상품구입 행태에서도 알아볼 수 있습니다.

중국 선양의 한 대북 소식통은 "북한 국영상점 지배인들이 들여가는 물건을 보면 깜짝 놀랄만한 것들이 많다"며 "한 벌에 2만 위안이 넘는 여성용 외투나 최고급 주방용품들, 고급화장품 셋트 같은 물품이 서민들을 위한 상품은 아닐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중국 단동에서 한국 상품 전문점을 하고 있는 조선족 조 모 씨는 "북한손님들 중에서 가장 큰 손은 국영상점 지배인들"이라며 "그들은 눅거리(싸구려) 상품에는 아예 관심조차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의 국영 상점은 국가가 주민들에게 생필품을 공급해주기 위한 유통구조 단위로 자본주의 사회에서 영리목적으로 하는 상점들과는 구분돼 왔습니다.

북한은 2002년 7.1 경제관리 개선조치 이후 식량을 제외한 기초 생활용품의 국가배급제를 폐지했습니다. 국영상점을 통한 생필품 공급을 장담했던 북한당국의 약속은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고 주민들은 장마당을 통해 필요한 물품을 구입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입니다.

2009년에는 화폐개혁 단행과 함께 장마당 장사를 금지시키면서 주민들의 불만이 고조되자 국영상점을 통해 국가가 싼값에 생활용품을 공급한다고 대대적으로 선전한바 있습니다.

하지만 주민들의 생필품 공급을 책임져야 할 국영상점이 특권층을 대상으로 한 외화벌이 수단으로 전락하면서 생필품 부족으로 인한 주민들의 고통은 배가되고 있다는 게 소식통들의 증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