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 "대북 공조 확인이 수확"

워싱턴의 한반도 전문가들은 이번 한미 정상회담과 관련해 양국 정상이 강경하고 통일된 대북 대응과 협력을 확인했다고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회담이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제시하지 못해 세부 사안에 대해 양국 간 입장 차를 남겨뒀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습니다.

0:00 / 0:00

정아름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이명박 대통령과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16일 백악관의 대통령 집무실에서 단독 정상회담을 했습니다. 두 나라의 정상은 회담 직후 연 기자회견을 통해 북한의 핵 보유를 절대 용납할 수 없으며 북한 핵의 완전한 폐기를 위해 미국이 핵우산을 포함한 확장 억지력을 제공하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국무부의 한국과장을 지낸 데이비드 스트라우브 스탠퍼드대 아태문제연구소 한국학 부국장은 이번 정상회담이 한국과 미국 간 긴밀한 협력을 할 의지를 보여줬다면서, 특히 `잘못된 행동에는 결과가 따른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고 16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설명했습니다.

스트라우브: 이번 회담은 두 나라의 대북 외교 정책을 정확히 반영했습니다. 두 정상이 회담을 통해 북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신뢰와 확신을 단단히 쌓았습니다.

미국의 민간연구기관인 외교정책분석연구소(IFPA)의 제임스 쇼프(James Schoff) 아시아 태평양 담당 부소장은 16일 자유아시아방송과 한 전화 회견에서 이번 회담이 북한 문제와 관련해 한국과 미국 간 공감대를 이루는 자리지만, 앞으로 두 나라가 펼쳐나갈 대북 정책의 구체적인 방향을 놓고 의견 차이를 보일 가능성은 남아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제임스 쇼프: 전반적으로 미국과 한국이 대북 정책과 관련해 궤를 같이 한다는 점을 재확인한 데 큰 의미가 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두 나라가 구체적인 외교를 실행해 나갈 때 좁혀야 할 차이는 당연히 남아 있다고 봅니다.

쇼프 부소장은 특히 북한에 억류돼 있는 미국인 여기자 2명과 한국의 현대아산 직원 유 씨에 대한 해결법에 한국과 미국의 접근법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미국과 북한 간 핵협상에 국무부 통역관으로 배석했던 통 김 존스홉킨스 국제대학원 교수는 북한 사안과 관련해 진보적 성향의 오바마 대통령과 보수적 성향의 이명박 대통령이 대북 대응에 차이를 보일 거라는 예상이 보기 좋게 빗나갔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김 교수도 이번 정상 회담이 대북 정책에서 구체적인 합의 방안을 도출해 내지는 못했다고 16일 자유아시아방송과 한 전화 통화에서 설명했습니다.

통 김: 두 정상이 한반도의 비핵화라는 뚜렷한 의지를 표명한 점은 좋았습니다. 하지만 두 정상이 유엔 안보리의 제재 결의를 이행하겠다는 원칙을 강조하는 데 그쳤고 해결 방법이 제시된 게 없습니다.

김 교수는 이어 오바마 대통령이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해야 할지와 북한이 그러한지에 대한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 고 말함으로써 모호한 입장을 견지했다고 덧붙였습니다.

하버드대학 벨퍼 연구소의 국제문제 전문가인 윌리엄 토비 교수도 두 정상이 지난해 4월 이 대통령과 조지 부시 전 대통령 간의 캠프데이비드 정상 회담에서 합의한 ‘21세기 전략적 동맹관계’를 한 차원 더 구체화했다고 보면서도, 특정한 사안들과 관련해 구체적인 대책을 끌어내지 못했다고 평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