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테러국 재지정해도 압박 효과 적어”

북한과 이란의 미사일 협력을 이유로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할 수는 있지만, 이것이 북한에 핵을 포기하는 데는 그리 효과적이지는 않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marcus noland 200
한반도 전문가인 마커스 놀랜드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28일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할 수는 있지만, 이것이 북핵 포기에 효과적이지는 않다고 밝혔다. RFA PHOTO/ 정아름

정아름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의 한반도 전문가인 마커스 놀랜드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선임연구원은 28일 미국이 북한과 이란 간 미사일 협력을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놀랜드 연구원은 미국 연방 의회에서 북한과 이란의 핵 개발계획과 미국의 외교 정책과 관한 토론회에 참석한 뒤 자유아시아방송 (RFA)에 북한과 이란 두 나라 간 이뤄지고 있는 미사일 협력이 확실하며, 이는 미국이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하는 데 충분한 요건이 된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놀랜드 연구원은 북한이 미국에 의해 다시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된다고 해도, 이에 따른 대북 압박의 효과가 있을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나타냈습니다.

놀랜드 연구원: 테러지원국 재지정이 되자마자 북한에 즉각 세계은행을 비롯한 국제 금융 기관에 가입하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오지만, 이것이 큰 대북 압박을 가져올 지는 미지수입니다.

북한이 생각하는 ‘당근과 채찍’이 미국이 생각하는 그것과 다를 수 있다면서, 북한이 원하는 것은 국제기구의 가입보다 미국이 제공하는 직접적인 지원이라고 놀랜드 연구원은 설명했습니다.

놀랜드 연구원은 미국 정부 내에서 현재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해야 한다는 의견과 재지정을 해봤자 큰 효과가 없다는 의견이 엇갈려 논란이 계속 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이 같이 주장했습니다.

한편, 놀랜드 연구원은 유엔의 대북제재 결의 1874호가 북한의 체제 변화나 핵 개발계획의 포기를 이끌지 못해 궁극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놀랜드 연구원은 유엔 결의가 본질적으로 북한과 손잡는 고객인 다른 나라들을 두렵게 만들지 못한다면서, 방코델타아시아 (BDA)의 사례처럼 강력한 단독 제재가 필요하다고 역설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