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 해소와 미국 내 한인 이산가족상봉에 행정부가 적극 나서도록 유도하기 위한 미 의회 청원운동이 펼쳐졌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제113대 미국 의회가 지난 3일 공식 출범했습니다.
<미 의회 개원식 실황 효과음>
이날 의회 출범일에 맞춰 미국에 살고 있는 한인들은 의회를 대상으로 청원운동을 펼쳤습니다. 미국 정부의 주요 한반도 관련 정책과 관련해 한국계 미국 시민들이 의회에 직접 의견을 전달하기 위해서입니다.
미국 뉴욕에 본부를 둔 재미동포 권익신장 단체인 시민참여센터 관계자들은 이날 하루 종일 의사당을 돌며 의원과 보좌관들을 면담했습니다. 이들은 에드 로이스(공화, 캘리포니아) 하원 외교위원장 등을 직접 만나 현안 7개 항으로 이뤄진 청원 서한을 전달했습니다.
청원서는 특히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을 중단시키기 위해 미국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그 동안 미국이 북한 문제에 소극적으로 대처하다 결국 북한의 핵 능력만 키워주는 결과를 가져왔다는 겁니다.
시민참여센터는 이날 의사당 방문 행사 뒤 저녁에는 워싱턴 인근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제113대 의회 회기 중 펼칠 청원 활동에 관해 상세히 밝혔습니다. 시민참여센터 박재진 변호사는 이 자리에서 대화를 통한 방식이든, 다른 방식이든 미국이 북한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박재진 변호사 : 어떤 방식으로든 미국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걸 요구하고 있습니다. 사실 한반도의 안보는 이곳 미국에 살고 있는 한인들과 매우 밀접히 연관돼 있기 때문에 빼 놓을 수 없는 요구사항입니다.
또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중국의 대북 영향력을 이용해 북한 핵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하는 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결국 중국의 지역 내 영향력을 인정하는 셈이라는 겁니다.
이와 함께 한국계 미국 시민들이 북한에 남아 있는 가족들과 합법적으로 상봉할 수 있도록 미국 정부가 나서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박재진 변호사 : 미국 정부가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공식 채널을 준비해 달라는 게 저의 요구사항입니다. 안심하게 큰 비용 없이 북한의 가족을 만나게 해 달라는 겁니다. 사실 저희가 오늘 방문했을 때 의원 사무실에서 많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한국계 미국 시민들이 이민개혁과 한미 자유무역협정 등 사회적 문제를 넘어 한반도 안보 현안과 관련해 직접 목소리를 내고 나선 건 드문 일로 그 성과가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