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이 대만 관광객 유치에 공을 들이고 있는 가운데 대만 정치권에서 북한 관광을 놓고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대만 외교부가 북한 관리의 방문 사실을 언론을 통해 뒤늦게 파악한 데 이어 의회에서 북한 관광에 부정적인 견해를 밝혔다가 이를 철회하는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조성규 북한 관광총국 부국장 겸 조선국제여행사 사장의 지난 주 대만 비공식 방문을 둘러싼 논란이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
첫 번째 논란거리는 북한 고위층 인사의 방문 사실을 대만 정부가 사전에 알지 못했다는 점.
대만 언론은 지난 14일 조 사장이 수도인 타이베이시를 활보하는 장면을 뉴스 시간에 내보내면서 외교부가 그의 대만 방문을 TV를 통해서 뒤늦게 파악했다고 비난했습니다.
대만 FTV(民視) 녹취: 조성규 북한 관광총국 부국장이 직항 전세기 도입 등을 논의하기 위해 일요일에 도착했습니다. 그런데 외교부는 이 사실을 TV를 보고서야 안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수세에 몰린 대만 외교부는 조 사장이 싱가포르의 대만 영사관에 관광 비자를 신청해 발급받았다며 그의 입국을 미리 파악하지 못한 점을 인정했습니다.
두 번째 논란은 대만 의회의 한 의원이 외교부 고위 관리에게 질의한 북한 관광에 관한 의견으로 촉발됐습니다.
지난 18일 대만 의회의 국방외교위원회 회의에서 집권 국민당 소속의 한 의원이 외교부 차관에게 대만인의 북한 관광에 관한 의견을 물었습니다.
그는 다가오는 크리스마스 휴가에 북한을 방문할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이 대만 외교부 관리는 “다른 곳도 많은 데 굳이 북한을 여행지로 추천하고 싶지 않다”며 부정적인 의견을 나타냈습니다.
그러자 대만 의회의 여야 의원들이 외교부 고위 관리의 발언이 외교적으로 적합하지 않다며 일제히 비난하고 나섰습니다.
의원들의 항의에 이 외교부 고위 관리도 한 발 물러서야 했습니다. 어디를 여행하든 그건 각자의 자유 의사에 따라야 한다는 겁니다.
대만 정치인들이 북한 관광을 둘러싸고 이렇게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이면에는 ‘중국인들도 북한을 오가는 데 왜 대만인은 안 돼나’란 경쟁 의식이 자리하고 있다고 대만 언론은 지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