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분계연선(휴전선)지구 북한주민들은 한국의 텔레비죤(TV)을 몰래 시청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이젠 그마저도 어렵게 되었습니다. 북한당국이 주민들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분계연선지구 주민들의 텔레비죤 통로(채널)를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조치를 취했다는 소식입니다.
서울에서 문성휘 기자가 보도합니다.
얼마 전 황해남도 해주시에 있는 친척방문을 다녀 온 함경북도 주민 강 모씨는 큰 충격을 받았다고 합니다.
그는 최근 자유아시아방송과의 전화통화에서 “친척집에 텔레비죤이 있었으나 통로를 모두 고정해 놓아 도무지 다른 방송을 시청할 수가 없었다”고 전했습니다.
북한당국이 남한의 텔레비죤을 시청할 수 있다는 이유로 분계연선지구 가정집들의 텔레비죤 수상기의 통로를 조작할 수 없도록 완전 고정시켰다고 그는 말했습니다.
강 씨는 “예전에도 중국 텔레비죤을 시청할 수 있는 국경지역이나 한국 텔레비죤을 시청할 수 있는 군사분계선 지역에서 텔레비죤 통로를 고정시켰지만 지금처럼 철저하게 고정시키지는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예전에는 단순히 통로 조작이 불가능하게 봉인도장이 찍힌 종이나 납땜을 하는 방법으로 고정시켜 원상대로 복원하는 것이 가능했는데 지금은 고강도 풀(초강력접착제)로 원격조종은 물론 수동조종도 할 수 없게 통로장치를 영구적으로 고정시켰다고 덧붙였습니다.
북한의 텔레비죤 방송체계는 조선중앙텔레비죤의 위성신호를 각 지역에 있는 초단파중계소들에서 전송받아 다시 주민지구에 보내주는 형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런 중계체계의 특성상 북한주민들은 같은 조선중앙텔레비죤이라 할지라도 지역마다 서로 다른 통로(채널)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을 안고 있습니다.
한편 함경북도의 소식통도 “군사분계선 일대에서는 이미 지난해부터 조선중앙텔레비죤의 해당지역 통로로 영구 고정시켰다”며 “그렇기 때문에 일단 다른 지역으로 이사를 가면 통로를 바꿀 수가 없어서 값비싼 텔레비죤이 무용지물로 되어버리고 만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이러한 문제로 하여 텔레비죤 통로를 영구고정 할 때 주민들이 거세게 반발했다”며 바빠 맞은 당국이 “김정은 대장동지의 배려로 분계연선(휴전선)지구에 우선적으로 텔레비죤 유선화를 실시한다며 성난 주민들을 달랬다”고 언급했습니다.
또 텔레비죤 유선화를 실시하면 통로를 바꿀 필요도 없고, 지금과는 대비 할 수도 없는 좋은 화질로 텔레비죤을 시청할 수 있다고 선전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약속이 있은지 1년이 넘도록 당국이 텔레비죤 유선화에 대해 아무런 대책 없이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어 주민들이 분노하고 있다고 그들은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