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때아닌 2달러짜리 지폐수집 열기

0:00 / 0:00

MC:

최근 북한에서 미국 2달러짜리 지폐를 갖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많아져 중국 국경도시들에서 2달러 지폐가 품귀현상을 빚고 있습니다. 2달러 지폐를 구하기 위해 중국에 나온 북한 무역일꾼들도 바삐 움직이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전합니다.

중국에 자주 왕래하는 평양의 화교 주 모 씨는 “2달러 지폐를 소지하고 있으면 재수가 좋다는 소문이 북한전역에 번지면서 2달러 지폐를 구해달라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고 말했습니다. 주 씨는 암달러상에게도 부탁하고 은행에도 몇 차례 가봤지만 구할 수 없었다면서 아쉬워했습니다.

한때 중국에서는 미화 2달러 지폐를 갖고 있으면 행운이 찾아온다는 속설이 널리 퍼져 2달러 지폐 수집 열풍이 불기도 했는데 뒤늦게 이 얘기가 북한 주민들에 까지 전해진 것 입니다. 북한 주민들, 특히 간부들이 2달러 지폐를 열심히 구하고 있다는 얘깁니다.

요즘 중국 선양이나 단동, 연길 같은 변경 도시에서는 미화 2달러짜리 지폐를 구하는 북한 사람들이 자주 눈에 띕니다. 보따리 상인은 물론 중국 주재 북한 무역일꾼들까지 2달러 지폐를 찾고 있습니다. 북한 고객들이 많이 찾으니 암달러 상인들까지 덩달아 2달러 지폐 수집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그러지 않아도 흔치 않은 2 달러 지폐가 더욱 귀한 몸이 됐습니다. 거래 가격도 2달러지폐 한 장에 10달러까지 올라갔습니다.

함경북도 주민 류 모 씨는 “2달러 지폐를 북에 갖고 들어가면 10달러는 너끈히 받을 수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류 씨는 “2달러짜리 한 장에 5달러 이상 줄 테니 좀 구해달라”고 부탁하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북한에서 2달러짜리 지폐가 인기 있는 것은 행운을 가져다준다는 속설을 믿는 간부들에게 뇌물로 주기에 적당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북한 무역 일꾼들은 주로 뇌물로 쓰기 위해 2달러지폐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북한 주재원들과 자주 교류하는 중국의 조선족 김 모 씨는 “중국을 방문하는 북한 간부들에게 2달러 지폐를 선물하면 입이 함지박만해진다”고 말했습니다. 김 씨는 “중국에 주재하는 북한 외화벌이 일꾼들의 지갑 속에는 항상 빳빳한 2달러짜리 지폐가 들어있다” 고 덧붙였습니다.

단동에서 한국 상품 전문점을 운영하고 있는 최 모 씨는 북한 손님들을 위해 한국에서 특별히 2달러 지폐를 들여왔다고 말합니다. 최 씨는 “북한에서 온 단골손님들에게 한 장씩 주면 매우 좋아 한다”면서 “1주일이면 2달러짜리가 몇 백 달러어치나 선물용으로 나간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세태에 대해 중국에 있는 한국의 인권운동단체 관계자는 “북한에서는 하루하루 살아가기가 빠듯하고 장래를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2달러짜리 지폐에 얽힌 행운에 기대하는 열기가 더 강한 것 같다” 고 풀이했습니다.

미 연방 준비은행에서는 1862년에 최초로 2달러 지폐를 발행한 이래 총 7차례 2달러지폐를 발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금 유통되는 2달러지폐는 대부분 2003년 발행된 것입니다. 다른 지폐에 비해 활용도가 낮아 발행 숫자가 적은데 이런 희귀성 때문에 행운의 지폐라는 속설이 번져 수집용 지폐로 인기가 있습니다.

한때 한국에서도 2달러 지폐를 소지하는 것이 유행한 적이 있지만 요즘 들어서는 시들합니다. 현재 2달러 지폐는 한국 시중 은행에서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