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정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이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와 달리 하반기에도 중앙긴급구호기금(CERF)을 통해 북한에 900만 달러의 인도주의적 지원을 할 예정이라고 유엔 인도지원국의 관계자가 20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이 관계자는 지난 2월에 이어 이번에도 여러 조사 자료를 검토한 끝에 11개의 다른 나라와 함께 북한을 유엔 중앙긴급구호기금의 지원을 받을 국가로 선정했다(DPRK will be supported)며 필요한 사업에 따라 지원을 하게 된다고 전했습니다.
유엔의 관계자는 올해 배정한 1억 3천만 달러의 전체 긴급구호기금 중에서 이미 7천500만 달러를 지출했고 앞으로 남은 5천500만 달러 중 900만 달러를 세계식량계획(WFP)과 세계보건기구(WHO) 식량농업기구(FAO), 유엔아동기금(UNICEF) 등과 구체적인 지원규모를 협의해 북한에 전부 지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유엔 인도지원국 측은 1년에 두 차례 인도주의적 지원이 필요한 나라를 선정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북한을 지원이 매우 필요한(most needed)나라로 분류했었습니다.
2009년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동안 유엔이 중앙긴급구호기금을 통해 북한에 지원한 금액은 약 1천만 달러($9,999,909)입니다. 이 금액은 유엔의 세계식량계획과, 세계보건기구, 식량농업기구, 유엔아동기금을 통해 각 사업에 따라 북한에 지원됐습니다. 따라서 유엔이 하반기에 9백만 달러를 추가로 지원함으로써 올해 북한에 전달한 긴급구호지원금은 모두 약 1천900만 달러에 달합니다.
유엔 인도지원국 측은 하반기에도 당장 북한 주민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검토한 뒤 900만 달러를 효율적으로 분배해 지원할 계획입니다.
유엔 인도지원국의 브라이언 고간 사무관은 올해 상반기 동안 유엔의 대북 지원에서 세계식량계획을 통한 식량 지원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며(650만 달러) 식량 가격과 연료의 상승이 가장 큰 이유라고 설명한 바 있습니다. 또 식량농업기구가 종자와 농기구 등 농업 지원에 115만 달러를 사용했고, 유엔아동기금과 세계보건기구가 어린이들의 전염병 예방과 유아 사망률의 개선, 임산부의 치료와 교육에 각각 110만 달러를 지원했습니다.
유엔이 중앙긴급구호기금으로 지원을 시작한 2006년 이후 지금까지 북한이 받은 지원액은 총 3천350만 달러로 전 세계에서 수단, 에티오피아, 케냐 등에 이어 11번째로 많은 지원을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