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기관 북한 식량난 과장…올 10만톤 부족”

유엔기관에서 내놓는 북한의 식량부족 추정치는 실제보다 과장돼왔고, 특히 올해 식량 부족분은 166만 톤이 아닌 10만 톤 가량에 그칠 것이라고, 미국의 북한 경제문제 전문가가 주장했습니다.

0:00 / 0:00

장명화기자가 전합니다.

마커스 놀랜드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 박사는 지난 3년간 북한의 곡물량과 곡물가격 등을 분석한 결과, 북한은 올해 10만 톤 가량의 식량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3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이 같은 추정치는 유엔 식량농업기구가 지난 3월 북한의 올해 식량부족분이 166만 톤으로 지난 2001년 이후 최대 규모가 될 것이라고 한 것과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이어서 주목됩니다.

놀랜드 박사는 이러한 편차의 원인으로 두 가지를 들었습니다. 첫째, 유엔기관은 북한정부가 제출한 곡물생산량 통계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데 비해, 자신을 비롯한 서방 전문가들은 한국과 미국의 관련 통계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둘째는 북한주민들의 곡물 소비량을 지나치게 높게 잡았기 때문입니다.

마커스 놀랜드: Secondly, we believe they have overestimated by about 25% the amount of grain that's actually consumed in North Korea. Indeed, we believe their figure is implausibly large...(유엔기관은 북한에서 실제로 소비되는 곡물량보다 대략 25% 과대평가하고 있습니다. 166만 톤은 정말이지 믿기 어려울 정도로 많습니다. 예컨대, 식량농업기구는 지난 십년간 북한에 100만 톤 이상의 식량이 부족하다고 말해왔는데요. 이건 아사가 발생해도 벌써 발생했어야 하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지난 8년간 북한은 한번도 ‘아사’를 경험한 적이 없습니다.)

따라서 올해야말로 대량 아사자가 발생했던 지난 1990년대 이후 사상 처음으로 북한 주민이 필요로 하는 곡물량에 비해 공급량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진단했습니다. 그동안 공급이 부족하기 때문에 식량위기가 초래된 상황은 아니었다는 이야깁니다.

이와 관련해, 최근 북한을 방문한 식량농업기구 로마 본부의 앙리 조세랑 세계정보/조기경보 국장은 북한의 올해 식량생산량은 지난해보다는 좋지만, 북한정부가 지난달 발표한 생산량보다는 훨씬 적다고, 3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조세랑 국장입니다.

앙리 조세랑: The Ministry of Agriculture in North Korea has one estimate, and we have another one, which is different, which is lower actually...(북한 농업성이 식량생산량을 추정해 발표했지만, 저희가 조사한 바로는 농업성 추정치보다 훨씬 낮습니다. 물론 북한의 연간 곡물생산량은 400 만 톤 정도였긴 합니다만, 농업성의 발표만큼 높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앞서, 북한 농업성의 리일섭 대외협력국장은 지난달 29일 북한의 식량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17% 증가한 468만 톤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의 발표대로라면, 북한 주민 전체가 1년 동안 먹고살 수 있는 최소 식량 필요량인 520만 톤에 비해 52만 톤이 부족한 셈입니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필요량을 466만 톤으로 잡을 경우, 단지 2만 톤만 부족하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한국정부는 다음 주에 유엔기관이 북한의 식량사정과 관련해 발표하는 평가를 본 뒤 북한에 인도적 식량을 지원할 지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