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한국의 통일부는 지난 10일 통일교육 기본교재를 새로이 발간했습니다.
이번에 발간된 교재에서는 북한의 안보 위협과 경제난이 강조됐고, 특히 인권 부분도 추가돼 눈길을 끌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에서는 해마다 통일교육 관련 책들이 정부 주도 아래 발간되고 있습니다. 통일 문제와 남북관계, 그리고 북한의 현실 등이 주된 내용입니다.
이 가운데 통일교육원이 발간하는 <통일문제의 이해>, <북한 이해>, <통일교육 지침서> 등이 일선 학교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교재로서 유명합니다. 교재는 정부의 대북정책이 그대로 반영되는 만큼 매년 내용이 약간씩 바뀝니다.
올해는 북한의 테러와 무력도발 사례를 기술하는 등 안보 위협에 관한 내용을 비중 있게 다뤘습니다.
한국교육개발원 신효숙 박사입니다.
신효숙: 현 정부 들어 와서 통일교육이 안보 의식 쪽으로 가야 한다는 방향성은 이미 잡혀 있었거든요. 결국 최근 시대적 상황이 그대로 반영된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 때문인지 이번에 발간된 교재에서는 ‘평화공존’이나 ‘동포애’, ‘동반자 관계’ 같은 단어가 삭제됐습니다. 올해는 특히 인권 침해 실태를 별도로 편집했을 정도로 북한 인권 관련 내용이 대폭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북한의 정치범수용소와 공개처형 등이 소개됐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합니다.
또 북한의 최근 경제 동향도 새롭게 추가됐습니다. 계획경제의 강화에 나선 북한의 경제 현실을 반영한 것입니다. 특히 화폐개혁 문제도 다뤄 눈길을 끌었습니다.
북한전략센터 김광인 소장입니다.
김광인: 화폐개혁 이후 북한 경제의 어려운 실상과 민생 문제들이 이번에 반영됐습니다.
앞서 통일교육원은 지난 1월 1일 ‘북한의 대남전략’이란 책자를 출간한 바 있습니다. ‘북한의 대남전략’은 김대중, 노무현 정부 시절 폐지됐다가 15년만에 다시 발간된 책자로, 북한 노동당 규약에 명시된 ‘적화혁명’ 부분이 삭제 또는 개정되지 않는 한 북한의 대남전략 기조는 그대로 이어진다고 밝혀 북한 당국이 크게 반발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