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유해 발굴 3월1일 재개

지난해 말 미국과 북한이 총 네 차례 갖기로 합의한 북한 지역 내 미군 유해 발굴 작업이 오는 3월1일 재개됩니다.

(사진) 루거 상원의원이 지난 17일 국방부에 보낸 서한 사본

리처드 루거 미국 연방 상원의원실은 지난해 10월20일 미국과 북한 양국 간 미군 유해 발굴 작업 재개를 위한 포괄적인 합의가 이뤄졌다며 25일 이같이 밝혔습니다.

상원 외교위원회 공화당 간사인 루거 상원의원은 당시 합의가 공동발굴단 구성과 발굴 참여 인원 수, 사전 공동 발굴 장소, 그리고 발굴단의 안전 문제 등을 다루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루거 상원의원은 이에 따라 지난 주 리언 패네타 국방장관에게 서한을 보내 미국이 북한 군부와 직접 접촉하는 이번 기회를 미군 생존자 문제를 직접 제기하는 기회로 활용하도록 촉구했습니다.

생존 한국군 포로가 아직 북한에 강제로 억류중이라고 한국 정부가 추정하고 있는 사실에 비춰 미군 실종자 중 생존자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루거 상원의원은 또 이번 미군 유해 발굴 작업으로 마련된 미북 간 접촉을 기회로8천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는 6.25 참전 미군 실종자에 대한 모든 가능한 정보도 북한 군부로부터 얻어내도록 촉구했습니다.

북한 군부를 직접 설득해 미군 실종자에 대한 모든 가능한 정보는 물론 만약 생존 미군이 있다면 이들의 귀환을 위해 국방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루거 의원은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