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한국 해군 초계함인 천안함의 침몰을 계기로 북한군의 비정규전을 포함한 비대칭전력에 관한 대비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미 해군이 이미 수년 전부터 비정규전에 대비한 전력 강화에 나서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해군은 지난 몇 년간 비정규전에 대비한 전력을 강화하고 관련 예산도 계속 늘려왔다고 의회 산하의 의회조사국(CRS) 최신 보고서가 밝혔습니다.
3월31일 발간된 ‘해군의 비정규전과 대테러 작전’에 관한 보고서는 “해군이 이미 지난 수 년간 다양한 형태의 비정규전과 대테러 활동을 펼쳐왔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 해군은 2008년 7월 비정규전 담당국을 신설해 현재 임기응변식으로 이뤄지고 있는 대테러전을 포함한 해군의 비정규전에 관한 임무를 제도화했습니다. 해군 참모차장 직속의 이 조직은 미 특수전 사령부와 긴밀히 협조해 해군의 비정규전과 관련한 계획과 전략을 수집 중입니다.
또 미 해군은 2006년 1월 원정대 사령부를 신설해 비정규전 관련 작전을 수행하는 복수의 해군 조직을 통합, 확장했습니다.
보고서는 미 해군의 예산 보고서를 인용해 해군이 가장 중점을 두고 진행 중인 연구 개발 분야 13개 중 비대칭 비정규전 관련 기술 개발이 포함돼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밖에 비정규전 수행을 위한 함정과 항공기 도입을 늘리고 무인 작전 수행 능력을 증강할 계획입니다.
보고서는 하지만 이처럼 미 해군이 비정규전 수행 능력 강화에 나서면서 예산 배정을 둘러싼 찬반 논쟁이 일 수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미국이 조만간 수행해야 할 비정규전과 대테러 관련 작전에서 해군이 특정한 임무를 맡을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는 주장에 맞서 비정규전 전력 확충에 이미 충분한 예산이 투입됐다는 주장이 일 수도 있다는 겁니다. 한편 월등히 앞선 해군력을 가진 한국의 해군 초계함이 서해에서 침몰한 사건을 계기로 군사전문가를 중심으로 북한이 상대적으로 앞선다고 평가받는 비정규전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