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자 귀환] 미-북 관계 개선 두고 봐야

미국 백악관과 국무부는 북한이 특별 사면으로 두 명의 미국인 여기자가 석방됐지만 이를 인해 미국과 북한의 관계가 개선될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0:00 / 0:00

핵협상에 돌아오고 국제사회의 의무를 이행하는 등 관계의 개선을 위한 모든 게 북한에 달렸다는 설명입니다.

노정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5일 여기자의 석방과 북한의 핵 문제는 별개라는 견해를 밝히며 북한이 6자회담에 돌아오기를 촉구했습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미국의 NBC 방송과 한 회견에서 클린턴 전 대통령의 방북은 인도주의적 활동이며 미국과 북한이 관계를 개선하려면 북한이 핵무기의 개발을 포기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아프리카를 순방 중인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도 같은 날 북한이 여기자 2명을 석방하고 나서 미국과 관계를 개선하는 일은 전적으로 북한에 달렸다며 도발적인 행동으로 국제적인 고립을 이어갈지 6자회담을 통해 논의를 다시 시작할지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국무부의 로버트 우드 부대변인도 5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의 방북으로 미국과 북한의 관계가 개선된다고는 볼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우드 부대변인은 이날 클린턴 전 대통령의 방북이 핵협상과 별개인 개인차원의 인도주의적 활동이기 때문에 전혀 연관성이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북한이 핵을 폐기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의무를 이행해야 하고, 6자회담에 돌아와야 하지만 북한이 돌아올지 판단하기는 너무 이르다며 지켜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Robert Wood: 이번 방북은 핵협상과 분리된 인도주의적 활동입니다. 전혀 관련이 없습니다. 우리는 북한이 국제사회에 돌아오는 길을 제시했습니다. 우리는 북한이 이를 받아들이길 바라지만 지켜볼 수밖에 없습니다.

우드 부대변인은 미국과 북한 간의 양자회담이 6자회담의 틀 안에서 가능하다는 기존의 입장을 확인했으며 북한이 국제사회로 돌아올지는 전적으로 북한에 달렸다고 말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과 클린턴 장관, 백악관과 국무부의 이같이 계속된 발언은 여기자의 석방으로 미국과 북한 간의 관계 개선은 없으며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협상장으로 돌아오라는 기본 방침을 전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국무부 측은 지난 4일 필립 골드버그 대북 제재 조정관이 러시아를 방문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 1874호의 이행 방안을 논의했으며 클린턴 전 대통령의 방북과 관계없이 제재 이행은 매우 중요하고 계속된다고 말했습니다.

국무부의 정책기획실장을 맡았던 미첼 리스 윌리엄 앤 메리 법과대학 교수도 미국과 북한이 서로 입장의 변화가 없기 때문에 협상이 진전될 리도 없고, 관계개선도 어렵다는 견해를 밝혔습니다.

한편 미국 국무부 측은 클린턴 전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이 만나 이번 방북 결과에 대해 곧 논의한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