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 지인 있으면 통일에 관심 더 높다”

0:00 / 0:00

앵커: 한국의 경기도민 중에서 평소 알고 지내는 탈북자가 있는 사람은 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런데 탈북 지인이 있는 사람일수록 통일에 대한 관심은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경기도에는 6천 여명의 탈북자가 거주하고 있습니다. 남한에 정착한 탈북자의 27%가 경기도에 살고 있는 셈입니다.

그런데 경기도민 1,200만 여명 중 탈북자와 알고 지내는 사람은 5%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이 지난 3월부터 8월까지 경기도민 1천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인 50명이 “탈북 지인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그런데 탈북자와의 교류가 있는 사람일수록 통일에 대한 관심은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평소 알고 지내는 탈북 지인이 한 사람이라도 있는 경우 “통일에 관심 있다”고 답한 비율은 80.0%로 나타났고, 반면에 탈북 지인이 한 명도 없는 응답자의 관심 정도는 69.5%로 나타났습니다.

고지영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연구위원: 50명밖에 안 되는 소수이지만, 그들은 탈북자를 모르는 사람들에 비해서 훨씬 더 통일에 대한 관심이나 의식이 높다는 거지요. 그러니까 적어도 통일의 관점에서 보자면 서로 함께 어울려 지내는 기회가 많이 늘어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한편, 설문조사 응답자의 84.3%는 탈북자와 이웃으로 지내는 것에 찬성했고, 친구로 지내는 것에는 82.8%가 찬성했습니다.

탈북자를 자신의 주변 인물로 ‘수용’할 의사가 있다는 뜻입니다.

이밖에도 탈북자가 ‘내 자녀를 가르치는 교사가 되는 것’에는 53.1%가 찬성했고, ‘내 자녀의 배우자가 되는 것’에는 51.0%가 찬성했으며, ‘내가 사는 지역의 시장이나 군수가 되는 것’에는 48.7%가 찬성했습니다.

고지영 연구위원은 “조사 결과를 보니 사람들의 탈북자에 대한 인식이 생각했던 것 보다 상당히 긍정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세부적으로 보면, “여성이나 저학력층, 저소득층 등 취약집단일수록 탈북자에 대한 수용성이 낮게 나타났고, 정치 성향별로는 진보나 중도층보다 보수층의 수용성이 낮았으며, 탈북 지인이 있는 경우 높은 수용성 보였다”고 고 연구위원은 설명했습니다.

이 연구는 경기도민의 통일의식 실태를 파악하고 통일을 준비하기 위한 지역 사회의 정책과제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했다고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은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