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에서 개인장사가 활성화되었기 때문일까요. 요즘 평양시 길거리 매대 사용료가 예년의 2배가 됐다고 합니다.
정영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에서 장사가 성행하면서 가계 사용료도 오르고 있습니다.
최근 연락이 닿은 평양의 한 주민은 "요즘 국가에서 웬만큼 장사하는 행위를 단속하지 않아서 그런지 길거리 매대(상품 편의점) 사용료가 대폭 올랐다"면서 "작년에 1천 달러에 거래되던 매대가 지금은 2천 달러까지 올랐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북한의 길거리 매대는 거리 골목이나 십자로 등 사람의 발길이 많이 닿는 곳에 조그만 집을 차려놓고 당과류와 과일, 담배, 술 등을 파는 밑바닥 생계현장으로, 매대 사용료 상승은 서민 경기 활성화 신호로 보입니다.
이 평양 주민은 "평양시 비 중심구역에 위치한 매대 사용료가 2천 달러지만, 평양역전 앞이나 중구역 십자로와 같이 목 좋은 곳에 위치한 매대는 3천 달러에 거래되기도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매대 장사는 물건을 앉아서 받고, 돌아서서 팔기 때문에 비교적 안정적인 장사"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매대 장사를 하려는 사람은 2천 달러를 원래 매대 주인에게 주고, 그러면 매대 주인은 인민위원회에서 발급한 봉사증에 그 사람의 이름을 올려주고 매대를 인계한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의 매대는 자릿세라고 하는 바닥 권리금과 일정 부분 단골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영업 권리금도 포함된 데다가 또 매대를 꾸리는데 돈도 들였기 때문에 주인들은 당연히 돈을 받고 넘긴다면서 앞으로 가격은 계속 오를 것이라고 그는 전망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돈이 있다고 해서 아무나 매대를 하는 게 아니라, 인민반장의 추천과 함께 구역 인민위원회의 허락이 있어야 가능하다"고 말해 여전히 북한당국의 통제가 유효함을 내비쳤습니다.
매대 사용료 가운데 일부는 원래 주인이 갖고, 일부는 구역인민위원회와 사업하는 데 소비하게 된다는 설명입니다.
1990년대 중반 식량난이 시작되자, 북한 주민들은 길거리에 매대를 마구잡이로 설치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북한당국은 이렇게 생겨나는 매대 범람을 막기 위해 지역마다 위치를 정해주었고, 허락 받지 않고 만든 매대는 강제로 폐쇄시키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인민군대 후방가족이나 생활이 어려운 사람들의 생계를 부양시키기 위해 우선권을 부여해주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매대를 차지한 사람들은 아침에 장사꾼들이 넘겨주는 물건을 받아서 그것을 다 판 다음에 돈을 돌려주었고, 어떤 날에는 훔친 물건도 싸게 구입해 되팔아 비교적 안정적인 수입을 마련할 수 있었습니다.
고향이 신의주인 한 탈북자는 "신의주시 역전 앞에 위치한 매대는 2000년대 초에만 해도 하루 매상고가 3만원에 달해 부자가 된 사람이 많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당시 매대 한 곳 사용료가 100달러부터 시작해서 이후에 300달러로 올랐는데, 지금은 2천 달러까지 상승했다"면서 "특히 매대가 딸린 아파트는 집값이 상승해 부수적인 혜택도 누린다"고 덧붙였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