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김정은 집권 후 북 호전성 변화 주목”

0:00 / 0:00

MC:

미국의 로버트 윌러드 태평양군 사령관은 27일 김정은을 필두로 하는 북한의 새 지도부가 김정일 국방위원장 생전 북한의 호전적인 입장을 유지할지 여부를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윌러드 사령관은 이날 워싱턴 외신기자센터(FPC)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새 지도자 김정은 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을 ‘영맨(young man)’, 즉 ‘젊은이’라고 호칭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은 검증되지 않은 김정은을 필두로 하는 북한의 새 지도부의 움직임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그 중에서도 윌러드 사령관은 북한의 호전성에 변화가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과거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은 동북아 지역을 비롯해 외부 세계에 강압적인 입장(coercive approach)을 보였는데 북한의 김정은 새 지도부가 과연 이러한 호전적 태도를 계승할 지 여부를 전 세계가 지켜보고 있다는 것입니다.

insert(

Willard

) So right now, I think the world is watching North Korea and with anticipation as they begin to reveal whether the strategies of Kim Jong-Il will continue or not.

윌러드 사령관은 김정은이 북한 통치와 관련한 수많은 도전들에 직면해 있으며 이러한 북한의 권력승계 과정에서 한반도의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윌러드 사령관은 이어 미국의 국방예산 감축과 새로운 국방전략에도 불구하고 주한미군의 병력수와 전략적 역할에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insert(

Willard

) I don't anticipate that there will be changes that are significant associated with the new this strategic rollout.

윌러드 사령관은 주한미군 병력수와 관련해 약 3만 명 수준으로 한국 측과 합의돼 있다면서 이는 전반적으로 북한과의 대치 상황을 고려한 것이지만 지역적인 수요도 감안한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앞서 지난 26일 미국의 리언 패네타 국방장관은 국방예산 감축과 관련한 기자회견에서 미국은 한반도에 상당한 규모의 지상군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