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당국이 11월 3일 북한 전역에 '준전시상태'를 선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번 '준전시상태'는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일인 12월17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견돼 식량난으로 허덕이는 북한주민들의 고통을 더해주게 될 것이라고 소식통들은 지적했습니다.
자세한 소식 문성휘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북한 김정은 정권이 11월 3일, 인민무력부 산하 각 군부대들과 민간에 ‘준전시상태’를 선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번 ‘준전시상태’는 조선인민군최고사령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조선노동당 군사위원회 명의로 11월 1일에 발효되었다고 소식통들은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북한 당국은 ‘준전시상태’가 발효된 즉시 선포한 것이 아니라 3일째가 되는 날인 11월 3일에 각 군부대지휘관들과 공장기업소, 인민반을 상대로 통보하는 형식으로 명령을 하달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이 같은 사실을 두고 소식통들은 북한의 권력층 내부에서 “‘준전시상태’ 선포를 놓고 얼마나 많은 갈등과 고민을 했는지 스스로 드러낸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최근 연락이 닿은 양강도의 한 소식통은 “인민무력부 산하 군부대들은 이미 10월 20일 경에 내부적으로 ‘준전시상태’에 돌입한 상태였다”며 “그 동안 사회(민간)에도 ‘준전시상태’가 선포될 것이라는 이야기들이 널리 퍼져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지어 주민들 사이에서는 ‘준전시상태’가 선포되는 시기를 놓고 현역 군인들이 먼저 ‘준전시상태’에 들어간 것과 맞춰 11월부터일 것이라는 설과 ‘새경제관리체계’ 시행일에 맞춰 12월이라는 설이 팽팽하게 맞서기까지 했다고 그는 언급했습니다.
또 이 같이 민감한 보안 사안들이 주민들 속에 흘러나와 격렬한 논쟁까지 부른 것은 북한 권력층들 사이에서도 상당히 갈등이 있었음을 의미한다며 “말이 ‘준전시상태’이지 실제는 ‘계엄령’을 선포한 것”이라고 단언했습니다.
이와 관련 함경북도의 소식통은 “함경북도는 지금 중앙당 검열과 국방위원회 검열로 숱한 간부들이 물갈이 되고 있다”며 “말로는 ‘준전시상태’가 선포됐다고 하나 그런데 신경 쓸 만큼 여유 있는 간부들이 있는 것 같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준전시상태’와 관련해 ‘적위대 비상소집’이 두어 번 있었을 뿐이라며 대신 세관에 대한 통제가 강화돼 무역기관들이 상당히 애를 먹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소식통들은 이번 ‘준전시상태’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일까지 연장될 것이라면서 “이 때문에 주민들의 식량난이 가증(가중)될 것 같아 매우 걱정스럽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그런가하면 “‘준전시상태’가 선포되면서 국경이 봉쇄되고 주민들의 야간통행도 단속하고 있다”며 “장마당에서는 일체 중국인민폐의 사용이 금지돼 장사행위가 모두 중단되는 등 벌써부터 큰 혼란이 일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