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외국공관 와이파이 차단”

0:00 / 0:00

앵커 : 북한이 평양 주재 외국 공관과 국제구호기구에서 그 동안 위성통신 등에 접속해 자체 이용해온 무선 인터넷망을 8일부터 전면 차단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동안 외국 공관 주변에서 암암리에 이뤄져온 것으로 알려진 북한 주민들의 인터넷 접속을 원천 봉쇄하려는 의도로 북한의 '인터넷 공포'를 잘 보여준다는 지적입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평양에 상주하는 외교사절과 국제기구에 대해 8일부터 와이-파이, 즉 무선근거리통신망(무선랜) 사용을 전면 금지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러시아의 이타르-타스 통신은 이날 평양발로 북한 당국이 외국 기관의 북한 내 근거리 무선 통신망 사용이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며 이같이 통보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북한은 이번 조치가 허가를 받지 않은 채 건물 내에 설치된 무선 통신망이 주변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북한의 전파규제부서는 이와 관련해 와이파이 시설을 즉시 폐기하지 않을 경우 통신망 차단 조치는 물론 북한돈 최고 150만원의 벌금이 부과될 것이라고 위협했습니다.

북한은 앞으로 평양에 상주하는 외교사절과 국제기구가 사전에 허가를 받은 뒤 무선 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에 상주해온 외교사절과 국제구호기구 등 국제기구는 그 동안 외교공관이나 사무실 등에서 와이파이를 통해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해왔습니다.

하지만 건물 주변에서도 누구나 쉽게 인터넷 접속이 가능해 북한 주민들이 암암리에 인터넷에 접속해온 것으로 드러나 북한 당국에 비상이 걸린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국의 ‘NK지식인연대’는 지난 달 평양 대동강구역 외국 대사관촌 주변 주택가에서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는 소문이 돌면서 집값이 급등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또 외국 대사관 주변에는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휴대전화 등을 이용해 인터넷에 접속하려는 북한 주민들이 한동안 서성이는 경우도 많았다고 전했습니다.

북한 당국의 이번 조치가 주민들의 인터넷 접속 원천 봉쇄를 염두에 두고 이뤄졌다고 분석되는 배경입니다.

북한 과학기술 분야 전문가인 마틴 윌리엄스 ‘노스코리아테크’ 대표는 이날 자유아시아방송에 “이번 조치가 북한 당국의 인터넷에 대한 공포심을 잘 보여준다”며 이같이 평가했습니다.

실제 북한은 최근들어 외국인이 북한에 머무는 동안 사용한 휴대전화의 심(SIM) 카드를 사용정지한 뒤에야 출국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주민들의 인터넷 접속에 예민하게 반응하고 있습니다.

외국인이 쓰다 남은 심 카드를 북한 주민들이 휴대전화에 끼워 인터넷 접속은 물론 국제전화를 사용하는 걸 원천 차단하기 위해서라고 윌리엄스 대표는 지적했습니다.

이번 조치로 북한 내 외국 공관과 국제기구는 앞으로 비밀번호 등 암호 설정이나 무선출력을 낮추는 등 북한의 까다로운 허가 조건을 충족해야 무선 인터넷망 사용이 가능할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