궐증(厥證)

0:00 / 0:00

MC: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건강하게 삽시다. 이 시간 진행에 이진서입니다. 길을 걷다가 갑자기 어찔하면서 정신을 잃게 되는 경험을 하신 분이 있을 겁니다. 이런 분은 내가 중병에라도 걸린 것은 아닐까 걱정이 심할 텐데요. 오늘은 궐증에 대해 동의사 강 유 선생님의 도움말씀 듣겠습니다.

이: 갑자기 정신을 잃는 것을 두고 궐증이라고 한다고요? 용어가 생소한데 어떤 것입니까?

강: 네. 궐증이란 순수 한의적인 병명입니다. 한의에서는 궐증을 갑자기 의식을 잃고 넘어지며 얼굴색이 창백하고 손발이 싸늘한 것이 주증상인데 한참 후에 저절로 깨어나는 병증을 말합니다. 지속적이고 쉽게 회복되지 않는 지각상실과는 구별 됩니다.

양의에서는 궐증을 머리에서 피 순환이 일시적 감소로 오는 뇌혈전, 고혈압, 심장의 일시적 정지, 느린 맥 등 순식간에 많은 피를 흘렸을 때 나타나는 증상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혈액 성분의 변화로 오는 질병에서는 혈당저하, 동맥혈의 산소 결핍과 신경조직의 자체 변화로 오는 간질, 히스테리 때 발작도 궐증 증세에 속합니다.

이: 이 질병의 원인은 뭔가요?

강: 네. 궐증의 발병기전을 살펴보면 고등신경기능이 일시적으로 심한 장애를 입은 상태로서 대부분 뇌부의 피 공급량이 모자라는데 그 원인이 있습니다. 여러 가지 원인으로 심장에서의 피 수출양이 적어지면 피부, 팔다리 그리고 콩팥, 비장 등 내장의 작은 핏줄들이 대사성 수축을 일으키며 혈압을 일정한 정도로 유지하는데 심장의 급혈양이 너무 적어서 유지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면 핏줄이 넓어지고 혈압이 떨어져서 뇌수 조직의 기능이 장애되면서 궐증이 발병하게 되는 것입니다.

한의에서는 궐증 증상을 기궐, 혈궐, 담궐, 식궐, 이렇게 4가지로 나눕니다. 기궐은 의식을 잃고 갑자기 넘어지는데 이것은 간기가 잘 펴나지 못하고 우로 거슬러 오르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으로 숨결이 거칠고 주먹을 꽉 쥐고 손발은 싸늘합니다. 이때는 양기가 속에 울결 되어 있으면서 팔다리에로 공급되지 못하여 생기는 징후로 봅니다.

혈궐은 갑자기 어지러워서 넘어지며 얼굴이 하얗게 됩니다. 심허열이 심하여 피가 머리에 잘 공급되지 못하여 생기는데 증상으로 팔다리 떨리고 식은땀이 나면서 숨결이 얕은데 이것은 뇌를 비롯한 몸 전체에 산소공급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여 생기는 증상입니다.

담궐도 갑자기 어지럼이 있으면서 넘어집니다. 담궐 때는 몹시 노하거나 다른 사람과 싸우다가 발작하는 때가 많습니다. 노기가 머리로 상기하면서 뇌 핏줄을 갑자기 수축시켜 뇌의 피 공급이 갑자기 줄어들어 생기는 증상입니다. 환자의 목에서는 가래 끓는 소리가 나고 손발이 싸늘해집니다.

마지막으로 식궐인데 식궐도 갑자기 어지러우면서 넘어집니다. 이런 증상은 금방 식사를 한 후에 다른 사람과 의견충돌이 있다던가 아니면 싸운 것이 원인이 되는데 이때는 위에 가득 찬 수곡이 노기를 따라 머리에 상기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봅니다. 숨이 가쁘고 가슴이 막히는 듯하며 명치 밑이 팽팽하면서 아픈데 음식물이 노기로 하여 체하여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여 생기는 증상입니다.

이: 문제가 유전적인 것에 있는 겁니까? 아니면 후천적으로 생기는 건지요?

강: 네. 이 질병을 발병시키는 요인은 유전적인 것이 많이 작용한다고 생각합니다. 유전적으로 심장기능이 약하거나 이상이 있는 사람들에게서 발병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입니다. 우리 몸은 거의 모두 선대에 의해 복제되기 때문에 선대가 갖고 있는 약점과 부족한 장기의 기능을 이어받게 됩니다. 이런 원인으로 선대에서 심장질병과 장내질병이 있었다면 다는 아니지만 그 일부를 유전 받게 됩니다. 이런 유전관계로 고혈압과 류마티스 관절염, 폐와 소화기 질병을 젊어서는 아니 앓더라도 나이 들면 선대들처럼 앓는 경우가 많이 보게 됩니다.

그리고 궐증은 후천적으로 발병하는 것이 더 많을 수 있습니다. 아무리 심장기능이 좋다 하더라도 정상적인 영양공급을 제대로 하지 못하거나 지나친 과로와 스트레스로 건강을 상한다면 누구라도 이병에 걸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궐증이란 질병은 고등신경 기능이 심한 장애를 받아 발생하기 때문에 정서상태, 환경상태, 음식, 운동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으며 신경장애가 혈압관계에 많이 작용하기 때문에 고혈압과 저혈압에서도 많이 발병하게 됩니다. 북한은 남자에게서는 고혈압이 많고 여자들에게는 저혈압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런 혈압들은 언제든지 궐증을 일으킬 수 있는 병적인 조건으로 된다고 생각합니다.

이: 치료를 하면 완치가 되는 건지요?

강: 치료를 하면 좋아지지만 완치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궐증이란 질병은 만성적으로 육체에서 앓고 있던 지병이 발병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영양 상태와 환경조건이 질병을 유도하기 때문에 약물치료로는 완치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의료조건이나 사회적 환경이 궐증 환자를 더 많이 발생할 수 있게 형성되어 가고 있습니다. 장기적인 기아상태와 생활기반의 악화는 부모에게서 아무리 좋은 유전자를 넘겨받은 사람일지라도 그리고 아무리 건강한 체력을 타고 난 사람일지라도 생계위협 앞에서는 정신적인 충격을 감당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눌리고 억압된 심리들이 외부의 정보를 접하는 그때부터 마음 한구석에는 의문과 위구심이 그리고 사회에 대한 불편함이 내재되어 가다가 일정한 시기가 되어 몸의 면역력이 떨어지고 외부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정신영역에 강한 자극을 주면 심장계통을 통하여 궐증과 같은 질병이 발병하게 되는 것입니다. 사회적인 환경이 후천적인 질병으로 발병시키기 때문에 원래부터 완치가 잘 안 되던 질병이 더욱더 완치가 불가능해지게 하고 새로운 질병을 유발하거나 합병하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이: 민간요법은 어떤 것이 있겠습니까?

강: 예. 궐증은 거의 모두 몸이 허약하여 발병하는 질환들입니다. 그리고 많은 경우 외부적인 강한 자극에 의하여 발병하게 되는데 이것도 역시 면역력이 떨어지고 몸에서 영양이 딸리는 시점에서 발병하기 때문에 총체적으로 건강상태가 안 좋을 때 발병하게 됩니다. 이런 여러 가지 병인들을 살펴보면서 민간요법을 사용하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민간요법은 한 가지 요법이 한사람에게 맞는 그런 요법입니다. 병증상이 같다 해서 같은 민간요법을 사용해서는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없습니다. 그리고 민간요법은 거의모두 단종으로 되어 있는데 한약을 단종으로 사용하면 편성하기 때문에 즉 음이나 양쪽으로 병이 쏠리게 되기 때문에 궐증과 같이 허증에 속하는 질병은 어느 한쪽만 보해서는 안 됩니다.

기궐과 혈궐에는 인삼, 만삼, 백출에 당귀와 백작약, 대조를 배합하여 사용하는데 인삼과 당귀를 함께 쓰던지 만삼과 당귀를 또 백출에 당귀를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담궐에는 한약 처방에서 도담탕을 주로 사용하는데 북한에서는 진피와 지각 같은 한약재는 수입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가정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담궐은 담이 막혀서 일어나는 병이어서 허증을 보할 보기 약으로는 인삼이나 만삼, 또는 백출을 이용하고 혈을 보충할 약재는 당귀를 처방한 후에 쓸개가 잘 만들어져서 장으로 나가게 하기위하여 인진쑥을 가미하는 민간요법을 사용하면 좋습니다.

다음으로 식궐은 위기가 막혀서 생기는 질병인데 평시에 소화 장애가 있는 환자에게서 잘 발병합니다. 위가 잘 소화되게 하려면 비를 보하면서 먹은 것이 잘 내리게 해야 합니다. 비를 보하는 약은 만삼이 적증하고 여기에 백출과 산사를 더하여 처방하면 소화도 잘되고 식 체도 풀리고 또 강심작용도 하기 때문에 식궐에 좋은 민간요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민간요법에 드는 한약재는 구하기도 쉽고 사용방법도 간편하여 누구나 이용할 수 있어 좋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겨울철 만성질환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이: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강: 네 감사합니다. 여러분 안녕히 계십시오.

건강하게 삽시다. 오늘은 궐증에 대하여 전해드렸습니다.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 동의사 강유 선생님 진행에는 저 이진서입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