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하게 삽시다] 발목, 손목 염좌와 타박 때 치료방법

0:00 / 0:00

MC: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건강하게 삽시다. 이 시간 진행에 이진서입니다. 해가 짧다 보니 캄캄할 때 나가서는 별을 보고 집에 들어오는 분이 많습니다. 그런데 날이 춥다 보니 길이 얼어 있는 것도 모르고 호주머니에 손을 넣고 걷다가 빙판길에 넘어져 낭패를 보는 일도 있는데요. 오늘은 발목이나 손목 등 넘어져서 다쳤을 때 할 수 있는 민간요법에 대해 동의사 강유 선생님과 이야기 나눠 보겠습니다.

이: 선생님 안녕하세요?

강: 네, 안녕하세요.

이 : 곳곳에 빙판이 많다 보니 넘어지기 쉽고 뼈에 금이 가거나 부러지지는 않았지만 손목이나 발목이 접질리고 퍼렇게 멍이 들 수 있는데 이때 우리가 알아야 할 상식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강 : 네, 겨울철에 눈이 많이 오고 날씨가 차지면 제일 많이 생기는 외상이 골절과 염좌 그리고 타박상입니다. 이런 외상은 여성과 노인들에게서 많이 발생하는데 그 이유는 여성에게는 연골증이 많고 노인에게는 골다공증이 많기 때문에 미끄러운 길에서 넘어지면 골절상이 많이 발생하고 여성에게서는 발목, 손목 염좌가 많습니다.

또 언 땅에 넘어지면서 몸의 여러 곳에 퍼렇게 멍이 들기도 합니다. 이런 외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길을 걸을 때 손은 호주머니에 넣고 다니지 말아야 하며 미끄럼을 타는 신발을 신지 말아야 합니다. 노인들인 경우에는 지팡이를 짚고 다니는 것이 제일 안전하며 신발이 미끄러우면 신발을 굵은 끈 같은 것으로 동이고 다녀야 합니다. 일단 골절되면 그 즉시에 골절된 부위가 부어오르기 때문에 집에 가서 응급 처치할 것이 아니라 곧장 진료소나 병원에 내원하여 골절 여부를 확진한 후 의사의 지시를 따라야 합니다.

그리고 손목이나 발목이 염좌 되었을 때는 걷지 못하거나 그 즉시에 외상부위가 붓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서 붓고 퍼렇게 멍이 들면서 념 좌 부위가 부어오르는데 그때는 얼음찜질을 하여 통증을 멈춰야 합니다. 아픔을 멈춘다고 술을 마시면 절대로 안 됩니다.

이 : 민간에서는 술을 마시면 통증이 적어진다는 이론도 있는데 그건 아닌가 보네요?

강 : 네. 내가 홍원 읍 종합 진료소에서 동의과 과장으로 일할 때의 일입니다. 어느 날 오후 왕진을 같다가 오른쪽 발목이 염좌 되었는데 발이 안쪽으로 휘어졌습니다. 나는 그 자리에 앉아서 발목을 원상대로 펴고 상한 발에 힘을 주면서 삐진 발목이 제자리에 들어가게 외다리 뜀질을 몇 번 했습니다. 그리고 진료소에 돌아와서 염좌 된 발목 주위에 침을 놓고 소독용 알코올을 솜에 묻혀 발목 주위에 발랐습니다.

삐진 발목이 시원해지면서 아픔이 사라지더군요. 근데 그날 저녁 퇴근하려는데 내가 담당한 구역의 한 어른이 환갑잔치를 하면서 나를 초대하였습니다. 나는 가서 인사만 하고 가려 하였는데 여러 사람이 만류하기에 할 수 없이 자리에 앉아서 음식을 먹었습니다. 그런데 기어이 술을 권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내가 낮에 있었던 일을 이야기하면서 술을 마시면 안 되니깐 술만은 사양하겠다고 하니 그 자리에 있던 많은 사람이 발목이나 손목이 삐었을 때는 술을 마셔야 아픔이 멈춰진다고 강박하다시피 술을 권하기에 할 수 없이 술 몇 잔을 마셨습니다. 조금 있으니깐 삐진 발목에 통증이 오면서 칼로 쑥쑥 찌르듯이 아파서 나는 황급히 집으로 갔습니다.

그날 저녁 아픔 때문에 나는 한잠도 못 잤습니다. 술은 염념좌 되었거나 골절된 데는 진통이 아니라 통증을 배가한다는 것을 그때 처음으로 체험하였습니다.

이 : 술이 고통을 더 심하게 했다는 말씀인데요. 그런데 민간 일부에서는 타박 당한 데 술을 마시는 것이 좋다고도 하는데요 어떻습니까?

강 : 네, 타박 당하여 시퍼렇게 어혈이 진 데는 술을 마시고 또 술을 타박상에 바르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방법은 민간요법에도 소개되고 있고 실지 임상에서 그 효능이 증명되고 있습니다. 그 원인을 살펴보면 술은 혈액순환을 촉진합니다. 그러니 어혈진 곳의 혈액도 빨리 흡수되게 하는 작용을 합니다. 그리고 타박 받아 시퍼렇게 어혈진 곳에 술을 바르면 술기운이 피부에 흡수되면서 어혈을 빨리 흡수시키고 흩어지게 하는 작용을 합니다. 이런 원리로 인하여 타박상만 아니라 화상 환자에게 술을 마시게 하고 화상을 입은 곳에 술을 바르게 하여 화상이 속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하여 빨리 치유되게 합니다.

이 : 근육이 한 번 뭉치거나 접질리면 자꾸 그곳에 또 문제가 생기는데 그때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강 : 한 번 접질린 발목이나 손목은 안정된 조건에서 약 6개월이나 그 이상의 시간이 지나야 제대로 회복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환자들은 그렇게 오랜 시간을 갑갑하게 느끼면서 안정하지 않고 손목을 쓰거나 발목에 무리가 가게 걷기도 합니다. 삔 손목과 발목은 움직일수록 아픔이 더하면서 붓기까지 합니다. 이것은 삔 손목과 발목이 정상으로 회복이 안 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회복이 되지 않은 발목은 정상에서처럼 발끝이 힘 있게 쳐 들리지 않고 조금 아래로 숙여져 있습니다. 그것이 원인이 되어 조그마한 돌에도 걸리고 지어는 문턱을 넘으면서도 발이 걸려 통증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발목과 손목에 오는 재발을 막으려면 처음 염좌 되었을 때의 치료를 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때 잘 치료하면 일생동안 다시 재발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 : 그럼 발목이나 손목 삔 것이 완치됐는지는 어떻게 알 수 있나요?

강 : 네. 발목이나 손목 삔 곳이 완치되면 발목이나 손목의 부종이 없어지고 퍼렇게 어혈진 것이 사라지며 손목과 발목을 정상처럼 움직여도 아픔이 없습니다. 처음에는 먼 길을 걷거나 무거운 것을 들면 상했던 발목과 손목이 조금은 저리고 아픈 감이 있지만 그것은 점차적으로 사라지면서 정상에도 돌아오는 것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 : 노인과 중년 여성들에게 많이 생기는 골다공증 환자가 뼈를 다쳤을 때는 문제인데요. 골다공증에 도움이 될 만한 음식이나 섭생법은 어떤 것이 있겠는지요?

강 : 추운날씨가 계속되고 눈이 자주 내리는 겨울철에는 발목이나 손목, 그리고 넘어지면서 생기는 타박상 환자가 많이 발생하는데 호주머니에 손을 넣고 다니다가 넘어지면 뇌 타박을 받아 뇌진탕에 걸릴 수 있으며 또 얼음 위에서 궁둥방아를 찧으면서 꼬리뼈를 상할 수 있습니다. 뇌진탕이나 꼬리뼈를 상하면 일생동안 낫지 않습니다. 노인의 골다공증이나 여성들의 연골증을 미리 예방하기 위해서는 한방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음과 같은 민간요법이 좋습니다.

멸치(북한에서는 까나리라고 함)를 맛있게 반찬으로 만들어서 매끼 내복하는 것이 좋습니다. 멸치에는 골다공증이나 연골증에 필요한 칼슘을 비롯한 뼈를 튼튼하게 해주는 성분이 많이 들어 있습니다.

다음은 홍화씨를 절구질하여 한번에 4그램을 물 200미리터를 두고 30분간 끓이다가 소금으로 간을 맞춘 다음 하루 2회 내복합니다. 홍화씨에도 뼈에 좋은 성분들이 많이 들어 있어 옛날부터 뼈가 골절된 데 많이 이용해온 민간요법입니다. 동물의 뼈나 해산물의 뼈를 깨끗하게 손질하여 건조한 후 가루 내어 1회3-4그램씩 1일 2회 정상적으로 내복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의 민간요법은 며칠 동안 하는 것이 아니라 수개월 혹은 몇 년을 두고 꾸준하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효과가 나타납니다. 이제는 마칠 시간이 되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겨울철 건강관리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이: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강: 네 감사합니다. 여러분 안녕히 계십시오.

MC: 건강하게 삽니다. 오늘은 삐거나 접질렸을 때 도움이 되는 상식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는 동의사 강유 선생님 진행에는 이진서였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