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건강하게 삽시다. 이 시간 진행에 이진서입니다.
기온이 급격히 떨이지면서 아무래도 면역력이 약한 사람은 감기도 자주 걸리고 각종 질병에 시달리게 됩니다. 오늘은 겨울철 노인건강에 대해 동의사 강유 선생님의 도움 말씀 듣겠습니다.
이: 겨울철 노인건강에 있어 신경을 써야 할 것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강: 네. 이렇게 날씨가 추운 계절이면 제일 사고가 많이 나는 연령대가 노인입니다. 노인들은 면역력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변화가 심한 자연환경에 잘 적응하지 못하게 됩니다. 때문에 찬바람에 노출되거나 추운 곳에 노출되면 인차 심장이나 뇌에 변화가 생기면서 여러 가지 병적인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지금처럼 추위가 심할 때 먼저 주의해야 할 질병 중 하나가 심장병입니다. 갑자기 찬 기온에 노출되면 말초혈관이 수축되면서 심장에 부담을 주게 되는데 체온을 올리기 위해 심장이 더 빠르게 뜀으로써 혈압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렇게 갑작스런 심박동 증가로 고혈압이나 협심증이 발병하여 사망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이: 나이를 먹으면 왜 호흡기 질병에 잘 걸리는 건지요?
강: 네. 북한같이 영양상태가 저조한 곳에서 생활하는 노인들일수록 면역력이 떨어져서 날씨가 조금만 차고 일기 변화가 생겨도 감기에 걸리기 쉽습니다. 노인이 되면 우선 추위를 잘 탑니다. 더운 삼복 철에도 이불을 덮고 자기도 하고 아무리 더워도 내의를 입은채 잠을 자기도 합니다. 이것은 노화가 진행되면서 신체기능이 떨어지는 자연스런 일이지만 지나치게 추위를 타는 것은 건강에 이상이 생겼다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한의에서는 이와 같은 증세를 허로증이라고 하는데 몸이 허하다는 것은 신체가 쇠약하여 자기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거나 유지하는데 어렵다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많은 노인들은 조금만 움직여도 힘이 없어하고 또 움직이기를 싫어합니다. 사람이 움직이기 싫어하고 활동하기 싫은 것은 두 가지 원인이 있는데 하나는 몸이 허로하거나 병으로 앓고 있기 때문에 맥이 없어 그러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굶어서 움직일 힘이 없는 것 때문입니다.
기자: 허로증에 대해 좀 더 보충 설명을 해주시죠
강: 네, 노인 허로증에는 양허와 음허 이렇게 두 가지로 나누는데요. 양허는 몸에 기운이 부족해져 혈액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이고, 음허는 몸 안에 진액이 부족한 경우를 말합니다. 진액은 음식에서 생기는데 특히 영양가를 골고루 섭취할 때만이 그것도 몸에서 흡수가 잘 될때 진액이 왕성하여 힘이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노인은 먹는 것도 젊었을 때보다도 적게 먹고 대신 소화흡수도 잘되지 않기 때문에 나이를 먹어갈수록 면역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렇게 면역이 떨어지면 외부로부터 감기를 비롯한 전염병에 잘 감염되게 됩니다. 때문에 노인들은 날씨의 변동에 따라 호흡기 질병에 잘 걸리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겨울철 건조한 공기는 진액이 부족한 노인들의 코나 기도에서 병균들이 걸러지지 못하고 그대로 폐에 흡입되기 때문에 호흡기 질병에 잘 걸리게 됩니다.
이: 특히 노인이 낙상을 조심해야 이유는 뭔가요?
강: 네. 임상에서 환자들을 치료해보면 겨울철에 빙판길이나 눈길에 넘어져 병원을 찾는 노인이 많습니다. 다른 계절에 비해 겨울철에 몇 배 이상 많이 발생하는 낙상사고는 특히 관절염이 있거나 중풍을 앓아 균형 감각이 떨어진 노인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노인들은 추위를 많이 타기 때문에 날씨가 추우면 호주머니에 손을 넣고 걷거나 혹은 몸을 잔뜩 움츠리고 다니다가 넘어지기 때문에 젊은 사람보다는 발목인대나 손목인대가 늘어나는 타박상을 입기도 하지만 많은 예에서는 발목 골절상과 손목 골절상 어떤 노인은 고관절까지 절골되는 중증 골절상을 입기도 합니다.
노인들 거의 모두는 골다공증을 갖고 있습니다. 그러니 조금만 타박을 받아도 뼈가 부러지거나 금이 가기 쉽습니다. 이런 원인으로 노인들이 겨울에 넘어지면서 제일 많이 뼈를 다치는 곳이 척추뼈와 엉덩이뼈, 손목뼈, 발목뼈입니다. 이것은 사람이 넘어지면서 반사적으로 손으로 바닥을 짚을 때 체중이 손목에 전달되면서 손목뼈 골절이 생기고, 엉덩방아를 찧게 되면 척추에 체중이 전달돼 흉추나 요추에 압박골절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이런 골절을 미리 막으려면 땅이 미끌거나 눈 온 뒤에는 잘 미끌지 않는 신발을 신고 보폭을 평시보다 작게 하면서 걸어야 합니다. 그리고 노인들은 지팡이를 짚는 것이 낙상을 미리 막는데 도움이 됩니다.
기자: 골다공증이란 것이 뼈밀도가 약해져서 뼈 안에 구멍이 숭숭 뚫려 있는 것 아닙니까?
강: 네, 맞습니다. 노인들은 낙상으로 뼈가 부러지거나 금이 가면 잘 회복이 안 됩니다. 주된 원인이 영양 상태에 있겠지만 노인의 뼈는 골다공증 즉 뼈 조직이 치밀하고 빽빽하지 않고 성기어서 쉽게 부러지게 되어있습니다. 때문에 한번 부러지거나 금이 가면 잘 붙지 않습니다. 그리고 노인은 근육이 적고 근육에 탄성이 없기 때문에 넘어지면 그에 대한 반사 능력이 저하되어서 세게 넘어지게 됩니다. 젊은이들은 넘어졌다가도 인차 회복되지만 노인은 그 회복이 더디게 진행되고 또 몸의 여러 곳에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이: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서 어떤 운동을 하면 도움이 되겠습니까?
강: 기온이 영하 아래로 내려가고 찬바람이 많이 부는 겨울철에는 젊은 사람들도 운동하는데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이 있지만 노인 경우에는 실외 보다는 실내에서 하는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노인들이 운동을 하는 목적은 여러 가지입니다. 우선 자신의 면역력을 높이는데도 있지만 많은 경우 자기가 갖고 있는 만성질병을 운동으로 관리하려는 욕심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때문에 고혈압이 있는 노인은 아침운동을 피하고 오후에 따뜻한 날씨면 밖에서 걷는 것이 좋습니다. 운동은 혈압을 조절해준다는 것을 명심하고 자기 연령과 자기 체질에 맞게 반드시 운동하여야 약이 될 수 있고 몸의 면역력도 높일 수 있습니다.
노인층에서 잘 걸리는 기관지 질병을 미리 막기 위해서는 호흡운동을 많이 하는 것이 좋습니다. 호흡운동이라고 하면 우리가 맨날 숨을 쉬고 있는데 또 어떻게 쉼 쉬는 운동을 하라는가 의문일 것입니다. 사람은 나이를 먹어가면서 호흡기능이 약해지고 흡기양과 호기양이 적어집니다.
기자: 숨쉬는 운동이란 것이 생소한데요
강: 노인일수록 겨울에는 호흡운동을 잘하는 것이 좋습니다. 호흡 운동을 할 때는 복식호흡 운동을 하여야 합니다. 코로 숨을 들이쉬면서 배를 한껏 부풀리고 잠시 멈추었다가 다시 입으로 천천히 숨을 내쉽니다. 코로 숨을 들이쉴 때는 가슴을 한껏 벌리고 또 배도 불룩하게 숨으로 채워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신진대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몸속의 노폐물과 독소를 더욱 많이 체외로 내보낼 수 있습니다. 폐로 많은 양의 산소를 흡입하면 그만큼 몸의 혈액순환이 잘 될 것이고 몸에 있는 많은 양의 폐기물을 내보내면 몸은 그만큼 깨끗해지게 됩니다. 다음 시간에는 겨울철 어린이 건강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이: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강: 네, 감사합니다. 여러분 안녕히 계십시오.
건강하게 삽시다. 오늘은 겨울철 노인건강에 대하여 전해드렸습니다.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 동의사 강유 선생님 진행에는 저 이진서입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