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하게 삽시다] 결핵

0:00 / 0:00

MC: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건강하게 삽시다. 이 시간 진행에 이진서입니다.

기침을 많이 하고 가래가 나오는 40대 이상 남성분들. 특히 건강에 신경을 써야하겠습니다. 북한에서 흔한 전염병 중 하나가 결핵인데요. 결핵은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결핵 증세와 예방 그리고 치료에 관해 동의사 강유 선생님의 도움 말씀 듣겠습니다.

이: 결핵은 어떤 질병인지부터 정리를 해주시죠.

강: 네. 결핵은 질병 범위가 대단히 넓게 차지하는 전염병 중 하나입니다. 결핵병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에서 임상에 제일 많이 나타나는 결핵병은 폐결핵, 임파 결핵, 피부결핵, 장결핵입니다. 그 외에도 여러 종류의 폐 이외 결핵도 있지만 오늘은 폐결핵과 임파 결핵, 장결핵에 대해서만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지금 북한 전역에 퍼지고 있는 결핵은 폐결핵인데 폐결핵은 기침이 지속적으로 나고 가래가 끓으며 항상 몸에 미열이 있으면서 식은땀을 흘리고 온몸이 나른한 것이 이병의 특징입니다. 식욕은 없고 얼굴색은 창백한데 볼은 발그스레하여 약간 흥분된 홍조를 띠게 되는데 이런 증상은 결핵 초기부터 있게 됩니다. 이런 증상이 계속되다가 치료를 받지 못하면 각혈하게 되는데 많은 환자들이 각혈하다 기도가 막혀서 사망하는 예도 있습니다.

다음으로 결핵에서 흔히 보게 되는 질병은 장결핵입니다. 장결핵은 장윤동 운동이 항진되면서 변비와 설사가 번갈아 일어나면서 손발이 차고 아랫배가 아픕니다.

그 외에 임파절 결핵과 피부결핵은 화학 약제를 취급하거나 방사선에 노출되는 직종에서 일하는 사람에게서 많이 생기는데 북한에서는 군수품 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 중에서 피부결핵환자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우리가 결핵에 대해 꼭 알아야 하는 상식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강: 네.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상식은 결핵병은 전염력이 센 질병이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결핵환자와 접촉해서는 안 된다는 겁니다. 가족 중에 결핵환자가 있다면 반드시 격리시키고 치료해야 합니다. 1996년 이후 북한에서는 식량난이 심화되면서 북한 전역에 있는 여러 전염병 격리 병동과 요양소들이 폐쇄되고 거기에 있던 전염병 환자들이 전국에 흩어지면서 전염병 발병을 가중시키었습니다. 그중에서도 폐결핵 환자가 급증한 것은 인민군대내에서 수많은 젊은 병사들이 영양실조에 걸리면서 면역력이 떨어지는 관계로 간염과 폐결핵에 많이 전염되었거나 발병되었습니다. 특히 폐결핵은 전염성이 강한 관계로 집단생활을 하는 군대 내에 전염원이 되어 군에서는 수많은 폐결핵 환자를 귀가 시켰습니다. 이들 거의 모두는 집에 돌아와서도 치료를 제대로 할 수 없는 관계로 사망하고 말았습니다.

폐결핵은 단순하게 전염만 되어서 생기는 것이 아니고 인체에서의 면역력 결핍과 영양실조로 하여서도 생기는 것만큼 자신의 건강관리에 항상 주의를 돌려야 합니다.

이: 영양실조나 당뇨가 있는 사람이 결핵병에 잘 걸리는 이유는 뭔가요?

강: 네. 사람이 영양실조에 걸리면 몸에서 면역력이 저하됩니다. 면역력이 저하되면 어떤 질병이든지 병균에 감염될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1996년부터 1998년까지 북한에서 수백만의 아사자가 생기고 수많은 전염병 환자가 생긴 것은 거의 모두가 영양실조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사람의 병에 대한 면역력의 강약은 그 사람의 영양 상태에 따라 결정됩니다. 때문에 영양 상태는 사람의 건강장수에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을 질병에서 지켜주는 역할과 또 질병에 걸렸어도 쉽게 회복하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북한은 당뇨병이 거의 없습니다. 옛날부터 당뇨병은 부자병 혹은 게걸병이라 하였습니다. 당뇨병에 걸리면 음식을 많이 먹는 관계로 게걸병이라고 붙인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부자병이라고 한 것은 부자들은 거친 음식이 아니라 고급스럽고 가공한 음식, 그리고 설탕이 많이 함유된 음식을 많이 먹는 관계로 부자들 속에서 당뇨병 환자가 많이 생긴 것 때문에 부자병이라고 하였습니다. 내가 북한에서 의사생활을 하면서 당뇨병 환자를 3명을 보았는데 2명은 노동당 간부였고 한사람은 평양방직 공장에서 일하던 아가씨로 스트레스로 인하여 인슐린의 분비가 되지 않아 한약으로 치료받고 정상으로 되었는데 위의 두 명의 간부들은 끝내 사망하고 말았습니다.

내가 중국에서 생활하면서 많이 보아온 병 중에는 결핵병과 간염이었습니다. 중국의 해안가는 공기습도가 너무 높고 내륙지대는 습도가 전혀 없는 것이 원인으로 되어 기관지와 폐의 질병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중국도 당뇨병이 많아 졌고 당뇨병으로 사망하는 것이 아니라 당뇨병으로 다른 질환이 곁들어 나면서 사망자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당뇨병은 영양실조와 정반대되는 성격을 가집니다. 몸이 정상체중을 훨씬 웃돌고 음식 섭취는 보통 인의 두 배정도 먹으며 그 대신 몸이 무거운 것 때문에 운동을 전혀 하지 않기 때문에 날이 갈수록 몸이 더 비대해지면서 고혈압과 심장질환을 발병시켜 결국 사망하게 합니다.

당뇨병은 혈액 속에 당이 함유되어 있으면서 혈액의 점성을 높이는 관계로 피가 끈적끈적하여 혈관을 따라 순환하면서 장애를 일으키게 됩니다. 피가 제대로 몸속에서 돌지 못하면 몸 전체에 산소공급과 영양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여러 가지 병적인 증상들이 나타나게 되며 몸에서의 면역력이 크게 저하되어 결핵병에도 잘 전염된다고 생각됩니다.

이: 결핵을 앓을 때 집에서 할 수 있는 요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강: 네. 결핵병은 전염되거나 영양실조와 여러 가지 질병을 제대로 치료하지 않은데서 발병하게 됩니다. 그중에서도 감기를 비롯한 호흡기 질병이 폐결핵을 발병시키는 원인 병으로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병에 걸렸을 때 치료를 잘하여 완치시켜야 합니다.

우리가 병에 잘 걸리지 않으려면 우리 몸의 면역력을 높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좋은 음식이 아니라도 음식을 몸에서 흡수가 잘되게 가공하여 비타민이 풍부한 해산물과 산나물을 배합하여 식사를 하는 한편 운동을 꾸준하게 진행하는 것이 전염병을 비롯한 결핵병을 예방하는데 선차적인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몸의 면역력이 강해지면 그 어떤 전염병 균도 침입할 수 없을뿐더러 만약 전염병에 걸렸다하여도 쉽게 회복할 수 있습니다.

운동요법으로는 냉수요법이 첫째이고 그 다음은 걷기 운동입니다. 이런 운동은 밥을 먹듯이 꾸준하게 하여야 효과가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이: 결핵에 좋은 영양식은 어떤 것이 있습니까?

강: 네. 결핵에 제일 좋은 영양식은 음식에 포함되어있는 단백질입니다. 이런 단백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음식으로는 곡식류에서는 찹쌀이고 한약에서는 율무이며 동물에서는 닭고기와 닭 알, 단고기, 그리고 뱀 고기가 결핵에 좋습니다. 동약 고전에 이런 민간요법이 있습니다.

결핵에 걸린 데는 늘메기를 몇 마리 잡아 단지 안에 넣어 죽이고 밖에 두면 거기에 구더기가 생기는데 이 구더기를 암탉에게 매일 먹인다. 죽은 뱀에서 구더기가 더 생기지 않게 되면 암탉은 털이 제절로 벗겨지고 닭살이 빨갛게 되는데 이 닭을 잡아 닭곰을 해서 먹는데 이런 닭곰을 세 마리만 먹으면 결핵은 가신 듯이 없어진다고 하였습니다.

이 민간요법에서도 제시되었지만 결핵병은 영양공급이 제일 중요합니다. 영양식을 먹어야 몸에서 병균을 이기는 면역력이 강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 외에 율무쌀로 떡을 만들어 먹든가 가루 내어 미수가루처럼 해서 수시로 먹어도 결핵에 좋은 영양식이 됩니다. 그리고 인삼과 황기를 같은 양을 가루 내어 한번에 10그람씩 내복하는 것도 결핵치료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제는 마칠 시간이 되었습니다. 질병을 예방하는 데서는 영양공급이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지만 이에 못지않게 운동을 잘하는 것도 여러 가지 전염병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입니다. 어려운 생활과 환경속일수록 건강관리를 잘하기를 바라면서 다음 시간에는 화상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이: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강: 감사합니다. 여러분 안녕히 계십시오.

이: 건강하게 삽시다. 오늘은 결핵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 동의사 강유 선생님 진행에는 저 이진서입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