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압

0:00 / 0:00

MC: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건강하게 삽시다. 이 시간 진행에 이진서입니다.

일이 안풀릴 때 뒷목이 뻑뻑하다면서 하는 말이 ‘혈압 오른다’ 입니다. 갑자기 쓰러질 때 정신이 아찔할 때 제일 먼저 떠어르는 것이 혈압인데요. 심장에서 뿜어져 나온 혈액이 혈관벽에 미치는 압력인 혈압에 대해 동의사 강유 선생님의 도움 말씀 듣겠습니다.

이: 고혈압이다 또는 저혈압이다 하는 것은 무엇을 말하는 겁니까?

강: 네. 고혈압은 충분하게 휴식한 후 아침과 저녁 시간을 정해놓고 약7일간 측정하여 나온 혈압 수치를 평균으로 하여 60세 아래에서는 120까지 정상 혈압이고 140미리 수은주부터는 고혈압으로 부릅니다. 사람의 혈압은 나이를 먹어가면서 조금씩 높아지는데 이것은 사람이 나이를 먹으면 혈관벽이 굳어지는 것과 연관됩니다. 혈관 벽이 굳어지는 것을 동맥경화라고 부릅니다.

저혈압은 고혈압과 반대로 몸통에서 혈액이 심장으로 모여들 때를 말합니다. 이때 혈압은 60살 미만에서는 60미리 수은주가 됩니다. 저혈압도 고혈 측정과 마찬가지로 충분하게 휴식한 후 약7일간 측정한 값을 평균치를 내어 결정하는데 저혈압은 대체로 남자들보다는 여성들에게서 더 많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동맥과 정맥의 유연성은 남자와 여자에서 틀리게 나타나는데 그것은 심장의 크기와 생육과 번식에 의한 신체적인 조건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남자들은 사회적인 부담과 역할 때문에 심장기능이 여자들보다 크고 튼튼합니다. 그리고 심장박동도 세고 빠르게 진행됩니다. 이런 것 때문에 남자들은 보편적으로 혈관이 빨리 굳게 되고 고혈압 병을 비롯한 혈관 질병을 많이 앓게 됩니다. 반면 여자들은 심장이 태생적으로 작습니다. 그리고 남자들이 복 식 호흡을 한다면 여성은 흉식 호흡을 합니다. 여자들은 심장기능이 약하기 때문에 몸통에 흘러간 혈액이 빨리 심장으로 흘러들어오지 못합니다. 이런 관계로 여자들은 거의 모두 혈압이 저혈압입니다.

이: 달리기를 하고 난 뒤 또는 놀랐을 때 심장이 빠르게 뛰는데 이런 것은 혈압이 높은 사람에게 위험한 겁니까?

강: 네. 달리기를 할 때 나타나는 혈압의 높이는 운동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정상 혈압에서 많이 높게 나타나게 됩니다. 자기의 신체에 맞지 않게 갑자기 달리면 이것은 심장에 무리를 주어 고혈압이 되어 뇌출혈까지 일으킬 수 있는 조건으로 됩니다. 특히 심장이 약한 사람들은 갑자기 흥분하거나 충격적인 사건에 임하면 혈압이 높아지면서 뇌출혈을 할 수 있습니다.

제가 한국에 정착하면서 의료자원봉사를 많이 하였습니다. 그때 간호사로 일하는 여성분과 그의 남편 되는 분이 나에게 자주 찾아와서 침 치료를 받았는데 그분들이 하는 일이 주식이었습니다. 내가 주식에 대하여 잘 모르니깐 그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내가 알기엔 주식도 하나의 도박 같은 것이었습니다.

이들 부부가 한동안 나타나지 않아서 잊고 있었는데 어느 날 갑자기 남편분이 아내 분을 부축해서 왔는데 뇌출혈에 의한 반신불수 상태였습니다. 사연을 물어보니 하던 주식이 폭락하면서 수억 원을 하루 밤사이에 날려버리고 그 여파로 아내분이 쓰러졌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갑작스레 모진충격을 받으면 심장이 약한 사람은 심장마비나 뇌출혈로 반신마비 혹은 사망하게 됩니다.

이: 저혈압인 사람은 좀 화를 내고 해서 흥분하는 것이 오히려 좋다고 하는데 맞는 말인가요?

강: 저혈압도 흥분은 금기입니다. 흥분과 과격한 자극은 심박동을 서서히 높여 주는 것이 아니고 갑작스레 충격적으로 혈압이 높아질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역시 뇌출혈 같은 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평상시 커피를 정상적으로 마시거나 운동을 정상적으로 하는 것 그것도 웃거나 많이 걷는 운동을 하는 것이 저혈압 환자에게는 좋은 영향을 주게 됩니다. 혈압은 장수와도 관련됩니다. 장수자들을 연구한 보고서를 보면 장수자 거의 전반이 저혈압입니다.

이: 실핏줄이 터졌다 이런 말이 있는데 이것도 혈압과 관계가 있는 겁니까?

강: 네. 실핏줄이 터지는 것도 거의 모두 혈압과 관계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은 대체로 고령자에게서 많이 나타나게 되는데 전구증상인 손발 저림과 머리 어지럼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서 서서히 한쪽 반편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양쪽에 장애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특히 이런 증상은 잠을 자고난 뒤인 아침에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어떤 분은 혈압이 평상시에는 정상인데 병원에 가서 재면 너무 높게 나온다 하고 말하는 경우가 있는데 문제가 있는 걸까요?

강: 네. 긴장과 연관된다고 생각합니다. 사람마다 긴장성은 다 있지만 대범한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도 있습니다. 병원이라는 환경적인 압박 때문에 정신적인 자극을 받게 되면 신경이 위축되면서 혈압이 갑자기 빨라지게 됩니다. 제가 진료소에서 환자를 진찰할 때도 여러번 상담하고 치료한 환자에게서는 긴장감이 없는데 처음 오는 환자들은 거의 모두 긴장하여 맥을 짚어보면 맥박이 빨리 뜁니다. 이때는 가족력을 묻거나 병력을 물으면서 긴장성을 완화시키면 맥박도 자연히 정상으로 되었습니다.

이: 고혈압이나 저혈압일 때 음식 조절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요?

강: 네. 혈압은 음식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북한에서 환자들을 치료하다보면 어부들과 해변 가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혈압이 보편적으로 높았습니다. 그 이유를 살펴보면 음식을 짜게 먹는 식습관 때문이었습니다. 젓갈은 쉽게 변질하기 때문에 오래두고 먹으려면 짜게 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이렇게 짠 음식을 먹으면 상대적으로 물을 많이 마셔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않기 때문에 혈압만 높은 것이 아니라 동맥경화를 비롯한 혈관 질병이 저염식하는 사람보다 훨씬 많습니다. 고혈압과 저혈압을 사전에 예방하려면 음식을 짜게 먹지 말아야 하며 물을 많이 마셔야 합니다.

민간요법으로는 식초를 여러 가지 음식을 만드는데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식초는 우리 몸에서 피를 깨끗하게 해주는 작용을 합니다. 그리고 저산성 위염에는 위의 활동을 높게 해주고 음식의 흡수와 소화를 잘되게 도와주는 작용을 합니다. 특히 감식초나 현미식초는 건강과 장수에 많은 도움을 주는 식품입니다. 한국에는 이런 말이 있습니다. “음식으로 고치지 못하는 병은 약으로도 고치지 못한다.” 참으로 옳은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혈압과 관련해 긴요하게 쓸 수 있는 응급조치가 있다면 소개해 주십시오.

강: 네. 혈압에 조금이라도 문제 있거나 심장기능이 약한 사람은 반드시 자기 몸과 생활환경에 나타나는 현상과 증상에 주의를 돌려야 합니다. 충격적인 것에 대하여서는 혼자서 대처하려 하지 말고 사전에 준비태세를 갖추는 것이 사고를 미리 막는 것으로 됩니다. 그리고 혈압이 있는 분들은 전구증상에 대하여 소홀하지 말아야 합니다. 아침에 일어났을 때 손발이 저리거나 머리가 어지러울 때는 운동을 하지 말고 진료소에 내원하든가 아니면 왕진을 청하여 증상을 제때에 진찰받고 그에 맞게 대비하여야 합니다. 많은 환자들은 이런 전구증상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활동하다가 병을 심화시켜서 뇌출혈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다음 시간에는 통증을 없애는 방법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이: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강: 네, 감사합니다. 여러분 안녕히 계십시오.

건강하게 삽시다. 오늘은 혈압에 대해 전해드렸습니다.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 동의사 강유 선생님 진행에는 저 이진서입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