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하게 삽시다] 여름철 보양식

0:00 / 0:00

MC: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건강하게 삽시다. 이 시간 진행에 이진서입니다. 요즘 왠지 몸이 허해진 것 같다. 식은땀이 많이 흐른다. 이런 얘기 자주 하시지 않나 싶습니다. 날이 덥고 습도가 높으면 짜증도 나도 힘이 없다고 느껴지기 쉽습니다. 이럴 땐 기력을 보충해 줄 뭔가를 찾게 되는데요. 오늘은 여름철 보양식에 관해 동의사 강유 선생님의 도움 말씀 듣겠습니다.

이 : 무더운 여름철이면 모두들 보양식을 찾는데 선생님, 보양식이란 어떤 것입니까?

강 : 네. 보양식이란 한의학에서 나온 순수한 우리말입니다. 여름철 더운 날씨에 땀을 많이 흘리면 기 소모가 급격하게 많아집니다. 이런 기 소모를 보충하는 의미에서 보양식을 찾는데 이런 보양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요즘 남한 전체국민이 즐겨 찾는 보양식은 닭에 인삼을 넣거나 황기와 대추를 넣은 보양식 그리고 기를 돕는데 필요한 한약을 넣은 보양식입니다.

이 : 남한에서는 더위를 뜨거움으로 다스린다 하여 ‘이열치열’ 한다고 육 고기로 만든 더운 음식을 많이 찾습니다. 북한 주민들이 즐겨 먹는 보양식은 어떤 것이 있습니까?

강 : 네. 민족의 피는 속이지 못 하는가 봅니다. 북한도 남한과 같이 보양식을 선호하는데 그 조리법이 조금씩 다를 뿐 보양식의 종류는 거의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북한에서 제일 선호하는 보양식은 단 고기이고 그 다음은 닭곰을 꼽지요. 그런데 단 고기는 남한에서 조리하는 것과는 많이 다릅니다. 우선 단 고기를 푹 삶는 것이 특징입니다.

북한에서는 단 고기 전골은 하지 않고 단 고기 국에 단 고기를 넣어 주는데 단 고기를 푹 익혀서 고기가 실처럼 흐트러지는 정도입니다. 그리고 내장으로는 양념을 만드는데 내장과 내장에 있는 지방을 푹 익혀서 잘게 탕을 친 후 된장으로 간을 맞추고 파와 마늘을 다져 넣고 거기다가 고추 가루를 적당히 배합하여 단 고기 국에 얹어서 뜨거운 단 고기 국을 땀을 뚝뚝 흘리면서 먹습니다. 북한에는 이런 속담이 있습니다.

“여름 더위에는 단 고기 국물이 발등에 떨어져도 살이 찐다.” 이 말은 단 고기가 그만큼 영양가가 높다는 것을 말하며 또 여름철 보양식으로 제일 선호 한다는 의미로도 됩니다.

그리고 이 방법은 한 열 명 친구들끼리 하는 보양식 방법인데 단 고기 내장은 위에서와 같이 양념용으로 만들고 단 고기는 가마에 통짜로 넣고 약 3시간가량 끓인 후 국물은 따로 받아두고 빈 가마에 소나무 가지로 시루를 만들고 그 위에 통짜로 삶은 단 고기를 올려놓고 가마솥 뚜껑을 덮은 후 불을 지핍니다.

가마를 서서히 달구기를 한 시간 정도 한 후에 단 고기를 꺼냅니다. 단 고기에서는 소나무에서 나는 솔 그름 냄새와 송진 냄새가 나면서 불고기 찜처럼 됩니다. 이것을 먹기 좋게 뜯어서 복판에 두고 빙 둘러 앉아 소주 한잔씩 마셔가면서 먹는 재미는 보양식으로도 좋고 친구들과 우정을 더 끈끈하게 다지는데도 좋아서 아마 평생 잊지 못 할 겁니다.

닭곰은 남한과 조리법이 거의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북한에서도 닭에는 인삼과 황기를 넣어서 닭곰을 합니다. 그리고 남한처럼 인삼과 황기를 넣은 후에 대추나 생강을 넣기도 합니다.

이 : 네. 북한의 바닷가 사람들은 아무래도 물고기를 이용해 보양식을 만들지 않을까 싶은데요.

강 : 네. 북한은 양면이 바다로 되어 있습니다. 바닷가에서 잡는 여러 가지 고기와 홍합과 전복 그리고 잘방 게와 미역 다시마는 그냥 먹어도 몸에 좋습니다.

특히 여름철 무더위 속에서 보양식으로 되는 것은 어죽을 해 먹는 것인데 어죽용으로는 바다에서 잡은 물고기와 거기에 홍합과 전복, 소라, 미역, 다시마를 넣어서 죽을 끊이면 별맛입니다. 이런 어죽에는 철분을 비롯해서 미네랄과 여러 가지 영양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어 보양식으로도 좋습니다. 지금은 낙지 철입니다.

낙지를 남한에서는 오징어라고 하는데 북한에서는 낙지라고 부릅니다. 북한에서 부르는 오징어는 등에 성긴 뼈 조직이 있는데 이것을 한약에서 오적 골이라고 합니다. 북한 해안가에서는 낙지를 여름철에 먹는 보양식으로 취급합니다. 금방 잡은 낙지를 내장을 버리고 바다 물에 깨끗이 씻은 후 큼직큼직하게 토막 내고 식초를 적당하게 친 후 고추장에 버무려서 그대로 먹습니다. 금방 정신이 맑아지고 기운이 나는 듯합니다.

이 : 북한은 아무래도 식량사정이 안 좋아서 형편이 어려운 분들이 많은데 이런 분들이 찾아 드실 보양식을 어떤 것 들이 좋은지 말씀해주시죠.

강 : 네. 북한에는 바다와 함께 강과 개울이 많습니다. 마을마다 강이나 개울이 흐르고 있습니다. 강이나 개울에는 여러 가지 민물고기가 많은데 그 중에서도 추어탕에 들어가는 미꾸라지는 기름지고 여러 가지 영양성분이 있어 보양식으로도 손꼽힙니다. 그리고 북한에서는 살초제가 없어서 논과 밭에 농약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개구리와 다슬기가 논과 개울가에 가득합니다.

나도 1998년 6월 15일에 북한 보위부로부터 남한 안기부 간첩이라고 모함을 받고 보위 부에 10일간 영장도 없이 끌려가서 악착같이 고문을 당하였고 남한 안기부 간첩이 아니라는 것이 판명되어서도 안전 부 감방에 석 달간 구류했다가 병보석 되었습니다. 나의 그때 몸무게가 45킬로그램 정도였습니다. 집에 나와서도 3년 동안 배급과 노임도 받지 못한 그런 상황에서 몸보신 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집에 있음 울화만 치밀고 그래서 강가에 나가서 물고기도 잡고 개울가에서 다슬기를 채취해서 그것으로 영양보충을 하여 많은 도움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지금 식량사정이 어려운 사람들도 나처럼 강이나 개울가 그리고 논에 나가서 미꾸라지와 개구리를 잡거나 다슬기를 주어다가 어죽을 만들어 먹으면 보양식으로도 좋고 식량보탬도 되어서 일거양득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 보양식에 대해 잘못 알려진 상식 같은 것은 없는지, 그리고 보양식을 쓰면서 주의할 점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말씀해주시죠.

강 : 네. 보양식에 대하여 상식적으로 잘못 전달된 것은 남한에서 볼 수 있는데 닭에 옻을 넣어 먹는 것입니다. 옻은 독성이 있는 한약재로서 알레르기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중독 작용도 합니다.

북한에서는 간경변증 때 민간요법으로 닭에 옻을 넣어 내복하면 좋다고 하는데 간경변증 환자가 이 민간요법을 사용하고 옻독에 중독되어 금방 사망하는 사건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남한에서는 닭에 옻을 넣어 닭곰을 해서 보양식으로 먹고 있습니다. 그래서 나를 찾는 여러 사람들에게 옻독에 대한 설명을 하면서 사람의 체질은 나이를 먹어가면서 변하기 때문에 옻에 중 독 될 수 있으니 될수록 옻닭은 먹지 말라고 권고합니다. 일부 사람들은 내가 예측한대로 옻닭을 먹고 중독되어 고생한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이 : 끝으로 사람들의 몸에 좋은 음식과 반대로 몸에 해가 되는 음식에 대하여 말씀해주시죠.

강 ; 네. 사람의 몸에 좋은 음식은 여러 가지 곡물로 혼합된 음식이 제일 좋다고 생각합니다. 입쌀, 강냉이 쌀, 보리쌀 콩, 팥, 감자, 고구마를 골고루 썩은 혼합식은 사람 몸에 필요한 영양분이 거의 다 들어 있습니다.

그리고 반찬도 바다의 미역이나 다시마와 산에서 나는 산 야채와 남새를 적당하게 배합하여 만든 것이 몸에 좋습니다. 그런데 반찬을 만드는데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은 반찬을 짜게 하거나 너무 맵게 해서는 안 됩니다. 음식이 너무 짜면 피 속에 나트륨이 많아져서 피가 걸쭉해지고 피 흐름을 방해하는 작용을 합니다. 그리고 너무 맵게 먹으면 위장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제는 마칠 시간이 되었습니다. 식량사정이 어려운 속에서도 여러 가지 보양식을 찾아내어 여름더위를 극복하는데 많이 이용하기를 바랍니다. 다음시간에는 물을 많이 마시자 이런 제목으로 말씀 드리겠습니다.

이 :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강 : 네 감사합니다. 여러분 안녕히 계십시오.

MC : 건강하게 삽시다. 오늘은 보양식에 대하여 알아봤습니다.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는 동 의사 강유 선생님 진행에는 저 이진서였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