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하게 삽시다] 위무력증에 대하여

0:00 / 0:00

MC: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건강하게 삽시다. 이 시간 진행에 이진서입니다. 보통 고통을 주는 질병 중에서도 고약한 것이 배앓이가 아닐까 싶습니다. 갑자기 너무 많이 먹었을 때도 그렇지만 아무 이유 없이 헛배가 부르거나 소화가 안 될 때는 식은땀이 흐를 정도인데요. 오늘은 위병과 관련한 질병에 관해 동의사 강유 선생님의 도움 말씀 듣겠습니다.

이 : 위병과 관련 흔히 말하는 것이 위무력증과 위하수증인데 어떤 질병인가요?

강 : 네. 위 무력증이란 말 그대로 위의 기능이 무력해진 상태를 말하는 것이고 위하수증 이란 위가 자기의 위치에서 밑으로 쳐졌다는 것을 말합니다. 위무력증이면 항시적으로 소화가 되지 않으며 속이 트직 하면서 트림을 많이 합니다. 위가 긴장을 잃은 관계로 위에서의 소화 효소 분비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음식물이 위에 머물러 있는 시간이 오래고 그로 인하여 위가 밑으로 쳐지는 상태까지 이르게 됩니다. 때문에 위무력증과 위 하수증은 밀접하게 연관된 질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위무력증이 있는 환자는 반드시 위가 하수되어 있습니다.

이 : 이때 나타나는 증상은 어떻습니까?

강 : 네. 우선 몸 전체를 살펴보면 얼굴에 핏기가 없으면서 창백하며 항상 고민상이고 몸은 삐쭉 말라있습니다. 소화장애를 주 증상으로 하는 소화불량 증상이 항시적으로 나타나며 속이 트직 하고 가슴이 무직하면서 껄껄 트림을 자주합니다. 그뿐만 아니라 배는 항상 냉하고 가스가 차서 헛배가 불러 있으며 배에서는 꾸르륵 소리가 나는데 이것은 위에서 소화 효소 액이 제대로 분비되어 음식물에 섞이지 못한 탓입니다. 소장에서 음식물의 흡수가 잘 이루어 지지 않고 그것이 장에서 발효가 되어 가스가 생기면서 장윤동을 가속시켜 묽은 변을 보게 되거나 만성적인 설사증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위무력증이나 위하수로 설사를 할 때는 소대장염 약을 먹어도 치유가 되지 않습니다. 반드시 위병을 치료해야 설사 증이 멎습니다.

이 : 배에 가스가 차서 불룩 나오는 것은 물론 때로는 토할 것같이 속이 메스꺼운데 이때 할 수 있는 민간요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강 : 배에 가스가 차거나 배가 팽팽하게 불어나는 증상은 위장 증상으로 위병의 주 증상이기도 합니다. 속이 메슥메슥하면서 토할 것 같은 증상도 위증상의 하나로 소화불량이 있는 사람이 혈압이 낮아지거나 저혈압일 때 그리고 이런 환자가 저기압일 때 많이 느끼는 증상중의 하나입니다. 이런 소화장애 증상은 다산모에게서 많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잦은 출산으로 임신하면 위가 위로 밀렸다가 출산하면 위가 아래로 처지는 생리적인 상태가 회복되지 못하고 병증으로 전환되기 때문입니다.

소화장애 증상이 있는 사람들의 공통된 증상은 속이 허랭하고 영양상태가 몹시 결여합니다. 그 원인을 위에서 설명했지만 위 기능이 무력하여 위가 하수된 것과 위에서의 음식물에 대한 소화 효소액의 결핍으로 소장에서 소화 흡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음식물 대부분이 소화 흡수 되지 않은 관계로 영양결핍 상태이며 그로 인한 정신적인 불안감이 온몸을 항시적으로 지배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민간요법을 장기간 실시해야 합니다.

소화장애로 오는 위증상이 다양하게 몸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한 가지 한약재로, 단방 약 처방으로는 치료가 어려운 질병입니다. 반드시 몇 가지 약을 혼합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오늘은 소화장애 증상 때 나타나는 주 증상인 위 아픔과 배에 가스가 찰 때 영양결핍으로 손발이 찰 때 사용할 수 있는 북한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는 민간요법에 대하여 말씀 드리겠습니다.

창출 500그램, 백출 500그램, 건강 300그램을 가루 내어 한번에 10 그람씩(어른 숟가락 하나)식후30분에 내복합니다.

창출은 소화를 잘 되게 하는 작용과 위에서의 습을 없애주며 속을 편하게 하는 작용을 합니다. 백출은 창출의 소화흡수를 도와주는 한편 기를 도와주어 소장에서의 음식물의 흡수를 도와주는 작용을 합니다. 건강은 속을 덥혀주는 작용을 하는 한편 위를 자극하여 위에 음식물이 오래 머물지 않게 할뿐만 아니라 혈액순환이 잘되게 하는 작용을 합니다. 이런 요법은 장기간 사용해야 하는데 3개월 이상 사용해야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인삼 300그램, 백출 500그램, 건강 300그램, 포부자 200그램, 감초 300그램을 가루 내어 한번에 8그램씩 식후 30분에 내복합니다.

이 한약 처방은 소화불량으로 소화가 되지 않으면서 설사를 오래하는데 그로 인하여 몸이 수척한데 사용합니다.

인삼은 영양상태를 좋게 해 주는 한편 몸에서 기혈이 잘 돌게 하는 작용을 하며 백출은 인삼을 도와 기를 도우면서 소화가 잘되게 하며 건강은 속을 덥혀주면서 혈액순환이 잘되게 합니다. 그리고 포부자는 명문의 기를 살려 음식물의 흡수가 잘되게 하며 설사를 멈추는 작용을 합니다. 감초는 약 성을 고르게 하면서 위의 아픔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이 : 소화불량이 자주 오는 분을 위한 식이 요법은 어떻게 해야 좋은지요.

강 : 네. 소화불량 증 때의 식이 요법은 환자에게 매우 중요한 치료 작용을 합니다. 위가 건강한 사람은 굳은 음식이나 무른 음식을 가리지 않지만 소화장애가 있는 사람은 굳은 음식이나 가루음식을 먹으면 소화가 더 안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위에서 음식물을 소화시키기 위해서 분비되는 여러 가지 소화 효소들이 위의 질병으로 분비되지 않는 관계로 굳은 음식물을 1차적으로 분해하는 역할을 못하는 관계로 위에 오래 머물게 하는 동기로 되며 그로 인하여 위 신경에 자극을 주어 위 아픔을 가져오게 합니다. 때문에 이런 증상들을 미연에 방지하고 위의 소화기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소화되기 쉽게 음식물을 가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위에서 소화가 잘되게 하려면 우선 음식물을 무르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영양 죽은 소화불량환자에게 제일 알맞은 식이요법중의 하나입니다. 입쌀이나 강냉이 쌀을 죽처럼 끓여 쌀알이 완전 익어 무르면 거기에 잣과 대추를 각각 50그램씩 넣고 약 20분간 더 끓이다가 적당하게 식힌 후 한번에 100그램씩 하루4-6회 내복합니다.

영양 죽에 토끼고기나 돼지고기를 잘게 썰어 혼합식을 하면 더욱 좋은 영양식이 되며 이런 음식은 적게 하루 여러 번 나누어 먹는 것이 소화불량 환자에게 맞는 식이요법입니다. 그리고 음식은 될수록 덥게 먹어야 하며 조금 맵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매우면 위를 상할 수 있지만 조금 매우면 위를 자극하여 위에서 소화효소를 잘나오게 할 수 있으며 음식이 위에 머무는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한약으로 사용하고 있는 의인을 가루 내어 한번에 50그램씩 매일 한번 지짐을 부쳐 먹는 것이 좋습니다. 의인은 한약에서 항암제로 오랜 기간 사용해오는 한약재이고 영양가와 소염작용이 매우 뛰어나 민간에서 위암이나 위병에 많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어린이 소화불량에도 의인가루에 인삼가루를 절반씩 썩어 꿀에 회석 해 먹이면 소화불량도 좋아지고 영양상태도 좋아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는 마칠 시간이 되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소화불량 증에 대하여 말씀 드리겠습니다.

이 :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강 : 감사합니다. 여러분 안녕히 계십시오.

이 : “건강하게 삽시다.” 오늘은 위무력증과 위하수증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는 동의사 강유 선생님 진행에는 이진서입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