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간부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벌써 30~40년 전부터 과학자들의 경고가 있었습니다만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가 세계 각지에서 모든 나라 국민들이 피부로 느낄 정도로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갑자기 쏟아지는 큰 비로 홍수가 나는가 하면 반대로 몇 개월씩 가뭄이 계속 되어 농사를 못 짓는 국가가 생겨나고 있습니다. 우리가 사는 이 한반도도 예외가 아닙니다. 벌써 몇 년 동안 한반도에 내리는 강수량이 뒤죽박죽입니다. 봄비가 안내려 모내기가 늦어지는가 하면 우박이 쏟아져 잘 자란 과일밭이 쑥대밭이 됩니다.
금년에는 남북 공히 비가 안와 모내기를 못하는 지방이 늘어나고 감자, 옥수수, 마늘, 당근, 무, 배추 등 남새(야채)가 흉작입니다. 지금 남한에서는 강원도, 충청도, 경기도의 북부지역이 가뭄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마늘 수확을 포기하는가 하면 모내기를 못해 다 자란 모가 누렇게 말라버렸습니다. 논바닥이 거북이 등처럼 갈라지고 있습니다.
당 간부 여러분! 들리는 말로는 북한에서도 가뭄으로 심대한 타격을 입고 있다고 했습니다. 감자와 옥수수등 하곡이 흉작이고 수리시설이 안된 전포는 이양은 고사하고 대체작물을 심을 수도 없는 지경이라고 했습니다. 만약 7월 중순까지 비다운 비가 오지 않으면 알곡 생산은 100만 톤 이상 감소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가뭄으로 인한 극심한 식량생산 감소야말로 자연재앙의 상징이라 할 것입니다.
당 간부 여러분! 상황이 이렇다면 향후 북한 당국자들의 최우선 과제는 식량부족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라고 아니할 수 없습니다. 우리 남쪽의 경우는 매년 정부가 의무적으로 수매한 쌀, 미곡이 수십만 톤 쌓여 있습니다. 이 저축미를 풀면 식량 부족은 큰 문제없이 극복 가능합니다. 여러분의 경우는 어떻습니까?
지난 몇 년간 협동농장에서는 분조관리제를 기반으로 하면서 평균 4~5명으로 조직된 '포전담당책임제'가 실시되어 과거보다 농민의 생산의욕이 높아져 알곡 생산도 증가했다고 했습니다.공장, 기업소에서는 소토지 농사를 실시하여 배급으로 부족한 식량을 보충토록 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금년처럼 가뭄이 심하면 전면적 농업생산은 물론 뙈기밭 농사이던, 소토지 농사이던 제대로 농작물이 자랄 리 없습니다. 결국 전반적인 식량부족에 직면할 수밖에 없습니다.
결국 외국으로부터 식량수입으로 부족한 식량을 보충할 수밖에 없습니다. 북한 당국은 석탄, 철광석 등 자원 수출과 해외에 송출한 외화벌이 일꾼들이 보내오는 외화로 충분히 부족한 식량을 수입할 수 있을 재정상의 여유가 있을 것입니다. 핵과 미사일 개발에 투입하는 예산을 줄인다면 쌀이나 옥수수 100만 톤 아니 200만 톤 정도는 충분히 수입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문제는 어떤 나라로부터 필요한 식량을 수입할 것인가? 하는 것입니다. 중국이나 동남아제국이 유엔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조치에도 불구하고 북한에 대한 식량수출을 해줄 것인가? 아마도 인도적 지원이란 차원에서는 별 문제가 없다고 할지 모르나 이들 나라 역시 과거처럼 식량수출에 선뜻 나설 만큼의 여유를 갖고 있지 못합니다. 중국의 경우는 오히려 식량수입국가로 바뀐 형편입니다. 이렇게 보면 외화를 보유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식량수입은 간단한 문제가 아닙니다.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로 미국을 비롯한 옥수수, 보리, 밀의 국제가격은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당 간부 여러분! 그래서 하는 말입니다. 왜 김정은은 남한의 민간단체들이 제의한 북한주민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거부하는 것입니까? 이들 남한의 민간단체들이 핵, 미사일 개발중단을 조건으로 인도적 지원을 하겠다고 했습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무조건 인도적 경지에서 '민족서로 돕기 차원'에서 북한의 어린이, 노약자들에 대한 식량이나 비료, 의약품 지원을 하겠다고 했습니다.
문재인 정권이 발족하자마자 민간단체와 종교단체들이 신청한 북한 방문을 승인했습니다. 말라리아 예방약 제공, 연유제품, 의료제품 제공을 승인했습니다. 그런데 북한 당국은 깡그리 거부했습니다. 왜 거부하는 것입니까? 모든 역량을 핵과 미사일 개발에 집중하고 그 결과를 가지고 대미협상을 전개하려 하는데 혹시 남북 간의 왕래나 인도적 지원 접수 등으로 북한 동포의 긴장감이 이완될까 염려되기 때문입니까?
당 간부 여러분! 문재인 정부의 출범과 동시에 변화한 대북정책을 신뢰하지 못한다면 어떻게 '민족 대단결'이니 '우리민족 서로돕기'니 더 나아가 민족의 자주성을 남북관계개선의 원칙으로 제시할 수 있는 것입니까? 지금 당 간부 여러분이 직접 피부로 느끼고 있을 것입니다. 하루가 다르게 국제사회와 미국의 대북압박과 제재조치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그래도 믿을 수 있는 상대는 남쪽의 민간단체, 인도적 종교단체들이 아닙니까?
'고난의 행군'시기, 북한 주민이 당한 굶주림과 영양부족으로 인한 수십만의 희생을 잊을 수 없는 여러분 당 간부들일진데 이러한 재난을 예방하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면, 당연히 선뜻 받아들여야 하지 않겠습니까?
식량의 생산, 보존 및 분배방법의 개선은 어떤 국가에서나 우선순위 1위의 정책과제입니다. 김정은을 비롯한 노동당의 수뇌부는 북한 주민의 '식량권'이 인권의 첫째임을 명심해야 합니다. 더 이상 주저하지 말고 남한의 민간인도지원단체의 제의를 받아들일 것을 촉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