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대학 주변 하숙집 가격은?

0:00 / 0:00

앵커: 최근 북한 장마당 물가와 해외 시세를 알아보는 'RFA 주간 프로그램-쉽게 풀어보는 북한 물가' 시간입니다. 오늘은 "북한 대학 주변 하숙집 가격"에 대해 전해드립니다. 보도에 한영진 기잡니다.

개학시즌이 되면 북한 대학생들에게 있어 가장 큰 고민은 기숙사 생활입니다. 남한과 달리 반군사체계인 북한에서는 학생들에게 일괄적으로 기숙사 생활을 시킵니다.

아침 6시가 되면 제대군인 대학 참모들은 방마다 돌며 학생들을 기상시키고, 운동을 시키고, 그 다음에는 청소를 시킵니다.

이뿐이 아닙니다. 식당에 갈 때도 학생들은 행진가를 부르며 가야 하고, 순서를 기다리는 동안에도 책을 보라는 제대군인들 성화에 마지못해 보는 척이라도 해야 하는 대학생들에게 있어 기숙사 생활은 고역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런 기숙사 생활을 피하기 위해 대학생들은 일정한 돈을 주인에게 주고 방을 빌려 사는 하숙생, 즉 개인 사택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와 관련해 남한의 탈북자 단체인 자유북한국제네트워크 김동남대표는 “대부분 북한 대학생들이 대학주변의 어느 개인집을 정하고 거기서 숙식하며 공부하고 있다”고 최근 자유아시아방송에 말했습니다.

김동남: 대학생들이 대학에서 기숙사 운영이 어렵고, 먹는 것을 비롯해서 생활조건이 완비되지 못해서, 부모들이 일정한 개인집을 잡아서 쌀, 기름 같은 것을 보장해주고, 그런 방식으로 하고 있다고 합니다.

북한 대학생들이 기숙사를 피하는 이유는 우선 생활환경이 열악하기 때문입니다.

김 대표는 원산 수산대학과 원산 농업대학이 중앙대학인데도 겨울에는 기숙사 난방이 돌지 않고 식사의 질도 한심해 대학생들은 주로 개인 사택(하숙집)에 나가 산다면서 특히 여성들은 냉병을 앓을수 있어 기숙사를 꺼린다고 지적했습니다.

대학생들이 하숙집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주인에게 매달 돈을 내야 합니다. 김대표는 원산시의 경우 “집주인에게 내는 방세는 매달 50만원(미화 60달러) 정도 된다”고 말했습니다.

김동남: 가격은 한달 비용으로 봤을 때 본인이 쌀 10kg씩 먹는다고 했을 때 지금 쌀 한 키로에 4천500원 하니까, 4만 5천원 (거기에 기름과 부식물 더하면) 식비가 15만원 정도 들고요. 그리고 숙비는 하루에 보통 만원씩 해요. 그러면 숙비는 30만 원 하고 그러면 모두 50만원 정도 해요.

2014년에 평양 모란봉구역에서 하숙한 경험이 있다는 한 탈북민도 “아는 사람의 집에서 살았는데, 한달에 50~70달러의 방세를 냈다”고 최근 한 설문조사에서 밝혔습니다.

대학생들이 기숙사에 들어가지 않으면 대학의 규율을 관리하는 청년동맹과 제대군인 참모들이 통제하는데, 그 사람들에게 뇌물을 주면 눈을 감아준다고 복수의 탈북자들은 지적했습니다.

어떤 학생들은 대학 기숙사에 등록은 해놓지만, 실제로 살지 않고 하숙방에서 사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이렇게 대학 주변에서 하숙방을 운영하는 북한 주민들은 적지 않은 수입을 올리고 있습니다. 2000년대 신의주에서 대학을 다녔던 한 탈북민은 “신의주 농업대학 주변에 사는 한 할머니는 대학생이 내는 하숙비로 1년 식량을 해결했다”면서 “특별한 수입이 없지만, 대학생 한 명을 들이고 그럭저럭 먹고 살았다”고 말했습니다.

연로보장 등 노후자금이 없는 북한에서 노인들은 대학주변에 집을 장만하고, 대학생들에게 세를 주고 노후생활을 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이 때문에 대학 주변의 집 가격도 오르고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을 비롯한 외국에는 대학주변에 하숙집이 많습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와 연세대학교가 있는 서대문구 지역에서는 방 한칸으로 된 하숙방이 400~500달러대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 방에는 냉난방 시설이 있고, 작은 냉장고까지 갖추어져 혼자 살기에는 안성맞춤입니다. 한국이나 미국에서는 대학 주변에 하숙방들을 예쁘게 꾸려놓고 사진을 찍어 인터넷에 올려놓고 광고를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에는 인터넷이나 신문을 통해 하숙집을 광고할 수 없기 때문에 대학생들은 대부분 입소문을 통해 찾고 있습니다.

다음은 국제 환율정보입니다.

3월24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와 중국 위안화의 환율은 1대 6.87입니다. 달러대 유로화는 1대 0.93, 달러대 일본 엔화는 1대111.07엔이었습니다. 현재 달러대 한국돈의 가치는 1대1,122.50원입니다.

다음은 금시세입니다. 3월24일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순금 1온수당 가격은, 즉 28.3그램은 1,246.9달러입니다.

한편 3월24일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1배럴 당 47달러7센트였습니다.

<쉽게 풀어보는 북한 물가>, 오늘은 “북한 대학 주변의 하숙집 가격”에 대해 전해드렸습니다. 지금까지 RFA 자유아시아방송 한영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