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전역에 ‘전쟁로병보양소’ 건설 중

0:00 / 0:00

고립과 은둔의 나라로 알려진 북한,

하지만 오늘날, 인공위성이 촬영한 위성사진으로 어느 누구나 북한 전역을 세밀하게 들여다볼 수 있게 됐습니다. 이제 위성사진은 북한의 변화를 발견하고,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됐는데요, 'RFA 주간프로그램 - 하늘에서 본 북한', 북한을 촬영한 위성사진 분석을 통해 오늘의 북한을 살펴봅니다.

위성사진 분석에는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국제대학원(SAIS) 산하 한미연구소의 커티스 멜빈 연구원입니다.

- 북한 당국이 참전용사를 위한 보양소를 전국에 걸쳐 짓고 있는 현상이 위성사진에서 확인됐습니다. 북한 노동신문이 소개한 룡악산 '전쟁로병보양소'에 이어 황해북도 사리원과 평안남도 석암, 함경북도 영천과 함경남도 함주 등에도 같은 모양의 '전쟁로병보양소'가 지어지고 있는데요, 앞으로 더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김정은 정권의 추진 사업이라 볼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전국에 걸친 고아들을 위한 애육원과 보육원, 물놀이장 건설 등과 함께 이번에는 참전 용사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김정은 정권은 이전에도 전국에 고아를 위한 애육원∙보육원을 짓고 김정은 위원장의 지도력과 북한 체제의 우월성을 선전한 바 있는데요, 이번에는 대상이 참전용사로 바뀌었다는 지적입니다. 또 김정은 정권은 겉으로 보여지는 건설공사로 전시효과만 꾀하고 있는데요, 강화된 대북제재 속에서 앞으로 건설공사가 차질은 없을지도 관심입니다.

- 북한 참전용사 위한 '전쟁로병보양소' 확산

- 숙소와 식당 비롯해 치료실, 오락실, 물놀이장 등 고급 시설

- 고아 위한 애육원∙보육원처럼 전국으로 확대해 김정은 체제 선전

- 김정은 체제 5년, 각종 건설 공사로 체제 우월성 강조

- 대북제재 강화 속, 앞으로 건설 활동 추이 주목


미국의 상업위성이 2016년 10월 4일에 촬영한 북한 룡악산의 '전쟁로병보양소'의 모습입니다.

북한 룡악산에 새로 건설한 ‘전쟁로병보양소'. 북한 당국은 숲속에 연못을 앞에 두고 숙소와 식당, 운동실, 오락실, 물놀이장, 치료실 등을 갖춘 현대식 건물이 짓고, 김정은 위원장과 체제의 우월성을 대대적으로 선전했다. 사진-구글 어스 캡쳐/커티스 멜빈 제공
북한 룡악산에 새로 건설한 ‘전쟁로병보양소’. 북한 당국은 숲속에 연못을 앞에 두고 숙소와 식당, 운동실, 오락실, 물놀이장, 치료실 등을 갖춘 현대식 건물이 짓고, 김정은 위원장과 체제의 우월성을 대대적으로 선전했다. 사진-구글 어스 캡쳐/커티스 멜빈 제공

룡악산 숲 한가운데 주황색 지붕의 큰 건물이 보이는데요, 마름모 모양과 함께 최신식 시설을 갖춘 모습입니다. 실제로 이 건물은 3천 제곱미터의 면적으로 침실과 식당, 치료실과 운동실, 오락실과 물놀이장까지 갖췄고, 건물 앞에는 연못까지 있어 휴양∙보양시설의 조건을 모두 갖췄습니다.

이 '전쟁로병보양소'는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지시에 따라 참전용사를 위한 휴양∙치료 시설인데요, 지난해 7월, 김정은 위원장이 지시한 이후 1년이 조금 넘어 완공했습니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산하 한미연구소의 커티스 멜빈 연구원입니다.

[Curtis Melvin] 북한 당국이 룡악산에 첫 '전쟁로병보양소'의 완공 소식을 알렸습니다. 이는 김정은 정권의 추진 사업이라 볼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전국에 걸친 고아들을 위한 애육원과 보육원, 물놀이장 건설 등과 함께 이번에는 참전 용사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 이 보양소는 전국에 걸쳐 건설 중인 것을 위성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북한 당국은 전국에 걸쳐 도마다 ‘전쟁로병보양소'를 건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해북도 사리원(왼쪽)과 평안남도 석암(오른쪽)에도 룡악산의 것과 똑같은 모양의 건물을 짓고 있다. 사진-구글 어스 캡쳐/커티스 멜빈 제공
북한 당국은 전국에 걸쳐 도마다 ‘전쟁로병보양소’를 건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해북도 사리원(왼쪽)과 평안남도 석암(오른쪽)에도 룡악산의 것과 똑같은 모양의 건물을 짓고 있다. 사진-구글 어스 캡쳐/커티스 멜빈 제공

실제로 지난 10월 23일에 촬영한 황해북도 사리원과 10월 4일에 촬영한 평안남도 석암에도 룡악산의 것과 똑같은 건물을 짓고 있습니다. 두 건물 모두 숲속에 있거나 한적한 호수를 앞에 두고 있어 휴양시설의 분위기를 물씬 풍깁니다.

함경북도 영천(왼쪽), 함경남도 함주(오른쪽)에도 ‘전쟁로병보양소'를 건설 중이다. 이는 북한 당국이 각도의 행정 도시마다 고아들을 위한 애육원과 보육원 등 똑같은 건물과 시설을 짓는 것과 유사하다. 사진-구글 어스 캡쳐/커티스 멜빈 제공
함경북도 영천(왼쪽), 함경남도 함주(오른쪽)에도 ‘전쟁로병보양소’를 건설 중이다. 이는 북한 당국이 각도의 행정 도시마다 고아들을 위한 애육원과 보육원 등 똑같은 건물과 시설을 짓는 것과 유사하다. 사진-구글 어스 캡쳐/커티스 멜빈 제공

또 함경북도 영천과 함경남도 함주에도 '전쟁로병보양소'에 관한 기초공사가 진행 중인데요, 건물의 모양이 다른 도시의 것과 유사합니다. 이처럼 '전쟁로병보양소'는 각 도에 지어지고 있는데요,

이는 각 도의 행정 도시마다 고아들을 위해 건설한 애육원과 보육원, 중등학교 시설 등을 짓고 김정은 위원장의 업적과 북한 체제의 우월성을 선전한 사례와 비슷합니다. (관련 기사)

실제로 북한 당국은 강원도 원산을 시작으로 청진과 신의주, 강계, 사리원 등에 똑같은 모양의 보육원과 애육원을 건설했으며 해주와 남포, 라선시 등에도 같은 건물을 지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리고 보육원과 애육원 옆에 종합학교시설을 짓는 것도 전국적으로 추진 중인데요, 이는 김정은 위원장의 '어린이 사랑'을 강조해 북한 체제를 강화하려는 노력으로 풀이됐습니다.

그리고 이제는 참전 노병들에 대한 관심으로 대상이 바뀐 건데요,

[Curtis Melvin] 전국에 걸쳐 '전쟁로병보양소'가 지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는 보지 못한 모양의 건물이기에 지금 완공되지 않았어도 건물의 비슷한 모양으로 추정이 가능한데요, 아마도 다른 지역에서 추가로 건설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건물은 온전히 참전용사를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지난 11월 13일, 룡악산 전쟁로병보양소를 소개한 노동신문에 따르면 건설 공사는 역량을 총동원한 속도전 공사였습니다. 공장∙기업소에서 파견된 수백 명의 돌격대원이 4만 제곱미터가 넘는 굴착작업을 이틀 만에 끝냈고, 일주일 만에 기초콘크리트 공사를 마무리 지었습니다.

그리고 빠른 시간 내에 타일 붙이기, 지붕 씌우기, 창문 달기, 유리 붙이기 등 기본 건물 공사와 외부 공사를 마쳤다고 노동신문은 전했는데요, 이 공사에도 적지 않은 노동력과 자본이 들어갔음을 알 수 있습니다.

멜빈 연구원은 김정은 정권이 집권한 5년 동안 건설 공사를 통해 김정은 위원장의 특징을 나타냈다고 평가했는데요, 하지만 경제적 침체와 계속 강화되는 대북제재 속에서 앞으로도 건설공사가 원활하게 이어질지는 의문입니다.

[Curtis Melvin] 김정은 위원장이 집권한 지 5년 동안 평양을 새로 단장했고, 새 살림집 건설, 새 기간시설 확충, 자연과학 강조, 새 보육원과 애육원 건설과 물놀이장. 극장, 공원, 학교 등을 지었습니다. 그리고 재래식 군사력의 증강과 함께 참전용사를 위한 군대 복지 시설까지 확대하고 있는데요, 오늘날 중국 경제가 어렵고,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강화된 때에 북한의 건설공사 추이를 계속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김정은 정권은 평양을 중심으로 전국에 걸쳐 겉으로 보여지는 화려하고 웅장한 현대식 건물과 오락시설을 짓고, 이를 통해 김정은 정권의 우월성을 과시해 왔습니다.

또 '어린이 사랑'에 이어 '참전 노병에 대한 애정'을 선전하며 민심을 얻으려 애쓰고 있는데요, 이전 애육원∙보육원 건설과 마찬가지로 근본적인 체제의 변화 없이 참전 노병을 위한 보양소를 짓는 것만으로 '인민의 지도자'란 이미지를 각인시키기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어 보입니다.

<위성사진 - 하늘에서 본 북한> 오늘 순서는 여기서 마칩니다. 지금까지 진행에 RFA 자유아시아방송, 노정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