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캐나다에서 관심이 높아가는 북한의 인권문제와 탈북자들 그리고 한인사회소식을 전해드리는 캐나다는 지금, 토론토에서 장미쉘 기잡니다.
캐나다의 북한인권단체인 북한인권협의회가 오는 9월 28일을 "북한인권의 날"로 정하고 캐나다 정부와 공동으로 이를 기념하는 다양한 행사를 진행합니다.
한 민간 단체에서 정한 "북한인권의 날"에 대해서 캐나다 정부가 공식적으로 기념 하고 동참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처음 있는 일로서 북한인권역사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고 북한인권협의회는 밝혔습니다.
캐나다 정부는 이날 정부를 대표하는 장관이 참석하여 이날을 "북한인권의 날"로 인정하는 정부명의의 성명을 공식 발표하게 될 것 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북한인권의 날"이 어떻게 제정되게 되었는지, 이를 위해 어떤 행사들이 준비되고 있는지, 캐나다 북한인권협의회 이경복 회장을 만나 자세한 이야기 들어봤습니다.
기자: 캐나다 북한인권협의회가 준비하는 북한인권의 날 제정을 위해 바쁜 날을 보내신다고 들었는데요, 이 날이 어떻게 정해지게 되었는지 좀 자세하게 설명해주 실수 있을 가요?
이경복: 캐나다 정부가 종래에 여러 형태로 북한인권에 대해서 관심을 표명하고 구체적으로 조치를 취하는 가운데 그래서 북한인권의 날을 정해달라고 수상한테, 그리고 장관한테 청원했는데 이것이 사실상 받아들여졌어요. 근데 무슨 이것이 법 제정을 통해서 북한인권의 날이 정해진 것은 아니고 우리가 북한인권의 날을 정해서 기념을 하는데 정부가 공식적으로 참여해주고 기념을 같이해준다는 그런 뜻에서 9월 28일을 해마다 북한인권의 날로 정하게 되었고, 그래서 북한인권의 날에 특별히 기념해야 할 내용이 뭐냐 하면, 북한인권이 잘되어 있는 인권이 아니라 잘못 되어있는 인권을 이야기 하는 것이고 특별히 북한인권의 날이라고 이야기 할 적에는 수많은 북한 주민들이 굶어 죽는 현상, 또 많은 사람들이 소위 정치범 수용소에 이유도 없이 갇혀서 죽을 때까지 강제노역으로 고생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인데 그래서 이런 현상을 기억하고 또 이것은 다른 것과는 달리 현재진행형인 일이기 때문에 정치범 수용소에서 지금도 20만 명이 수용되어 있다고 하지 않습니까? 그래서 이런 사람들을 어떻게 하면 빨리 해방하고 또 어떻게 하면 이런 말도 안 되는 시스템을 어떻게 하면 하루빨리 해체할 것인가 하는 것을 궁리하고 연구하는 것이 이 북한인권의 날을 기념하는 취지라고 할 수 있죠.
기자: 회장님, 이번 행사에는 캐나다 정부를 대표하여 제이슨 케니(Jason Kenney) 복합문화장관과 크리스 알렉산더 이민장관, 그리고 한국 정부를 대표해 이정훈 외무부인권대사가 참석 할 예정이라고 하셨는데요. 이외에 어떤 분 들이 참석하시고 또 주요하게 다뤄질 내용은 무엇인가요?
이경복: 북한인권의 날인 9월 28일을 전후로 해서 토론토에서 4일간, 오타와에서 이틀간 대규모 컨퍼런스를 합니다. 주제는 주민들을 기아선상에 몰아넣는 현상, 또한 주민들을 이유도 없이 강제수용소에 수감해서 죽을 때까지 강제노역을 시키는 현상, 이것을 주제로 해가지고 국내 저명한 연사들이 많이 오십니다. 국내적으로 말하면은 전 법무장관이고 국제사회에 널리 알려진 어윈 커틀러, 또 로메오 달레오 장군, 그러니까 르완다 대량 학살 당시에 유엔평화 유지군 사령관이었던 분, 지금은 캐나다 상원의원이십니다. 국제 사면위원회의 알렉스 니브회장님도 오시고, 또 미국에서도 북한정치범 수용소 관련 전문가이신 데이빗 호크, 변호사 자렛 겐서, 북한인권위원회의 그랙 스칼라튜 사무총장 등 이런 분들이 오시고 한국에서도 특별히 정치범 수용소 해체본부 임원들이 다 오십니다. 강철환씨, 정광일씨, 안명철씨, 정치범 수용소 생존자 분 들이 오셔서 증언을 하고 그래서 컨퍼런스 결과를 유엔 조사위원회에 보고를 하게 됩니다.
지난 2008년에 창립된 캐나다 북한인권협의회는 최근 년간 해마다 북한인권국제회의를 열고 있으며 캐나다 정부와 사회에 북한인권개선을 위한 청원운동을 쉼 없이 벌리는 등 북한인권 개선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캐나다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장미쉘입니다.
0:00 / 0:00